[비즈니스포스트] 미국 뉴욕증시 3대 지수가 2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추락했다.

개장 직전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보다 높게 발표되자 인플레이션이 더 길어질 것이란 우려에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됐다.
 
뉴욕증시 급락, 미국 인플레이션 장기화 우려 확산 투자심리 위축

▲ 13일 미국 뉴욕증시 3대 지수와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큰 폭으로 추락했다.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트레이더 모습. <연합뉴스>


13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276.37포인트(3.94%) 하락한 3만1104.97에 거래를 마감했다.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도 전날보다 177.72포인트(4.32%) 떨어진 3932.69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날 대비 632.84포인트(5.16%) 급락한 1만1633.57에 장을 끝냈다.

코로나19 사태 초기인 2020년 6월11일 이후 2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전날까지 4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다가 하루 만에 일주일치 상승분을 모두 반납한 것이다.

이날 개장 직전 미국 노동부는 8월 CPI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8.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올해 전월과 비교하면 0.1% 상승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8.0%)를 크게 웃도는 수준으로 투자자들은 인플레이션 장기화 및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고강도 긴축을 우려할 수밖에 없게 됐다.

특히 변동성이 큰 에너지, 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3%, 올해 전월보다 0.6% 각각 증가했다.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에 영향을 미치는 전월 대비 근원 CPI가 7월 상승률(0.3%)의 2배로 치솟으며 연준이 더 큰 폭의 금리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유가 하락으로 연료, 가솔린 등 에너지 부문은 32.9%에서 23.8%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이 둔화됐으나 전기, 가스 등 유틸리티 부문과 신차 및 중고차, 주거비, 음식료, 의료비 등 에너지 제외 항목에서 큰 폭으로 상승한 것에 기인했다"고 설명했다.

유틸리티 부문 증가율은 18.9%에서 19.9%로 커졌으며 신차 및 중고차는 9.2%에서 9.8%로, 주거비는 7.4%에서 7.8%로, 음식료는 10.9%에서 11.4%로, 의료비는 5.1%에서 5.6%로 각각 늘었다.

노동부의 CPI 발표 이후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3.42%로 상승했고 2년물 국채금리는 3.73%까지 급등하며 2007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금리에 민감한 기술주들의 주가 하락이 눈에 띄었다.

유니티소프트웨어 13.4%, 엔비디아 9.5%,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는 9.4%, 애플 5.9%, 마이크로소프트 5.5%, 구글 모회사 알파벳 5.9% 각각 주가가 급락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전날보다 168.82포인트(6.18%) 하락한 2562.27에 장을 마감했다.

한편 미국의 전미자영업연맹(NFIB) 자료에 따르면 8월 소기업 낙관지수는 91.8로 나타났다. 전월(89.9)보다 소폭 상승했으며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90.5)도 웃돌았다.

다만 지난 48년 평균치인 98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김서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