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내 4대 시중은행의 순이익이 증가하는 동안 직원 수와 점포 수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김영주 더불어민주당 의원(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순이익이 급증했다.
4대 시중은행의 2021년 기준 순이익은 9조2487억 원이다. 2012년 순이익인 5조4613억 원보다 69.3% 늘었다.
그러나 같은 기간 4대 시중은행 임직원 수는 5만8405명으로 9.5% 줄었다.
점포 수도 3079곳으로 2012년 당시 4137곳과 비교해 25.5% 감소했다.
김 의원은 “4대 시중은행들이 사상 최대 순이익과 이자수익을 기록한 배경에는 은행원과 점포 수 감축이 상당 부분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며 “금융당국은 은행의 인력과 점포 감축 문제를 다양한 측면에서 들여다봐야 한다”고 말했다. 조윤호 기자
12일 김영주 더불어민주당 의원(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순이익이 급증했다.

▲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2021년 순이익이 2012년에 견줘 69.3% 급증했다. 그러나 이 기간 은행 임직원 수는 9.5% 줄었다.
4대 시중은행의 2021년 기준 순이익은 9조2487억 원이다. 2012년 순이익인 5조4613억 원보다 69.3% 늘었다.
그러나 같은 기간 4대 시중은행 임직원 수는 5만8405명으로 9.5% 줄었다.
점포 수도 3079곳으로 2012년 당시 4137곳과 비교해 25.5% 감소했다.
김 의원은 “4대 시중은행들이 사상 최대 순이익과 이자수익을 기록한 배경에는 은행원과 점포 수 감축이 상당 부분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며 “금융당국은 은행의 인력과 점포 감축 문제를 다양한 측면에서 들여다봐야 한다”고 말했다. 조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