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원/달러 환율이 13년여 만에 1370원을 돌파한 가운데 달러 강세가 계속될 것이라는 증권가의 전망이 나왔다.
미국의 금리인상 정책과 유로화 약세에 힘입은 달러 강세를 저지할 요인이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6일 전규연 하나증권 연구원은 “환율 부담으로 당국의 개입과 대응 의지가 확대되고 있지만 현재 환율 수준에서 마땅한 저항선이 없다”며 “원/달러 환율의 상단은 1400원까지 열어둘 필요가 있다”고 내다봤다.
전날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8.8원 높은 1371.4원에 장을 마쳤다.
올해 초와 비교해 원화의 가치는 15.1% 절하됐으며 미국 달러 인덱스는 110포인트대로 오르며 20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전까지 미국의 긴축 통화정책이 이어지면서 원/달러 환율 상승을 부추길 것으로 파악됐다.
전 연구원은 “미국 비농업부문 신규 고용지표를 통해 확인했듯 미국 경제는 생각보다 나쁘지 않다”며 “특히 서비스업 고용이 견조한 회복세를 유지하면서 서비스업 임금의 상승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봤다.
서비스업 임금 상승은 물가를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힌다.
이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위원들은 9월에도 고물가를 통제하기 위해 금리 인상을 이어갈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유로화 약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전 연구원은 “연준의 통화정책 외에 달러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핵심은 유로화가 될 것이다”며 “유로존 경기가 악화될 가능성, 러시아 천연가스 공급 중단 등 유로존을 둘러싼 악재들을 감안하면 유로화 약세가 지속될 듯하다”고 봤다.
8일 열리는 9월 유럽중앙은행 통화정책회의에서는 고물가가 지속되면서 금리를 0.75%포인트 올릴 확률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가파른 긴축으로 이후 유럽 경기가 악화될 가능성도 제기됐다.
러시아는 유럽으로 가는 천연가스 공급 중단을 재통보하면서 유럽 겨울철 에너지 위기에 대한 우려를 확대했다.
이 밖에 한국 8월 무역수지 적자 폭이 커진 것도 원화 약세를 이끌어낼 요인으로 지목됐다. 정희경 기자
미국의 금리인상 정책과 유로화 약세에 힘입은 달러 강세를 저지할 요인이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 원/달러 환율이 13년여 만에 1370원을 돌파한 가운데 달러 강세가 계속될 것이라는 증권가의 전망이 6일 나왔다.
6일 전규연 하나증권 연구원은 “환율 부담으로 당국의 개입과 대응 의지가 확대되고 있지만 현재 환율 수준에서 마땅한 저항선이 없다”며 “원/달러 환율의 상단은 1400원까지 열어둘 필요가 있다”고 내다봤다.
전날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8.8원 높은 1371.4원에 장을 마쳤다.
올해 초와 비교해 원화의 가치는 15.1% 절하됐으며 미국 달러 인덱스는 110포인트대로 오르며 20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전까지 미국의 긴축 통화정책이 이어지면서 원/달러 환율 상승을 부추길 것으로 파악됐다.
전 연구원은 “미국 비농업부문 신규 고용지표를 통해 확인했듯 미국 경제는 생각보다 나쁘지 않다”며 “특히 서비스업 고용이 견조한 회복세를 유지하면서 서비스업 임금의 상승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봤다.
서비스업 임금 상승은 물가를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힌다.
이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위원들은 9월에도 고물가를 통제하기 위해 금리 인상을 이어갈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유로화 약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전 연구원은 “연준의 통화정책 외에 달러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핵심은 유로화가 될 것이다”며 “유로존 경기가 악화될 가능성, 러시아 천연가스 공급 중단 등 유로존을 둘러싼 악재들을 감안하면 유로화 약세가 지속될 듯하다”고 봤다.
8일 열리는 9월 유럽중앙은행 통화정책회의에서는 고물가가 지속되면서 금리를 0.75%포인트 올릴 확률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가파른 긴축으로 이후 유럽 경기가 악화될 가능성도 제기됐다.
러시아는 유럽으로 가는 천연가스 공급 중단을 재통보하면서 유럽 겨울철 에너지 위기에 대한 우려를 확대했다.
이 밖에 한국 8월 무역수지 적자 폭이 커진 것도 원화 약세를 이끌어낼 요인으로 지목됐다. 정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