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코스피와 코스닥지수가 외국인과 기관투자자의 '팔자' 흐름에 약세를 보이고 있다.
전날 미국 물가상승과 주요 은행주의 실적부진에 따른 주가 하락으로 뉴욕증시 3대 지수가 혼조세로 마감한 영향이 국내 증시에도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15일 오전 9시37분 기준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20.16포인트(0.87%) 내린 2302.16을 보이고 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12.80포인트(0.55%) 높은 2335.12에 장을 시작했으나 외국인과 기관투자자의 쌍끌이 매도에 하락 전환했다.
현재 코스피시장에서 개인투자자는 2344억 원 규모 주식을 순매수하고 있다. 반면 기관투자자는 1620억 원, 외국인투자자는 845억 원어치 주식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간밤 미국 뉴욕증시는 7월 말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1%포인트 금리인상 가능성과 미국 최대 은행인 JP모간체이스가 내놓은 악화한 2분기 실적 등의 영향으로 3대 지수가 혼조세로 장을 마감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0.46%,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30% 하락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만 0.03% 상승했다.
미국 노동부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이어 6월 생산자물가지수(PPI)를 발표했는데 1년 전보다 11.3% 올랐다.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같은 날 미국 최대은행인 JP모간은 2분기 실적을 발표했는데 대손충당금 확대로 2분기 순이익이 28%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피시장 급등주를 보면 진원생명과학(9.09%), 이연제약(4.36%), 모두투어리츠(1.28%), 팜젠사이언스(2.62%) 등이 있다.
시가총액 상위 10종목을 살펴보면 삼성전자(1.22%), SK하이닉스(2.45%), 삼성SDI(0.55%) 등 3개 종목의 주가만 상승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0.13%), 삼성바이오로직스(-1.09%), 현대차(-1.37%), 네이버(-1.93%), LG화학(-3.58%), 기아(-1.65%), 카카오(-2.64%)의 주가는 하락하고 있다.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5.97포인트(0.78%) 내린 760.11을 나타내고 있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2.33포인트(0.30%) 오른 768.41에 거래를 시작했다.
코스닥지수 하락도 외국인투자자와 기관투자자가 이끌고 있다.
외국인투자자는 572억 원, 기관투자자는 275억 원 규모 주식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반면 개인투자자는 865억원어치 주식을 순매수하고 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메디콕스(24.58%), 셀리드(17.40%), 셀루메드(15.11%), 보광산업(12.38%) 등이 크게 오르고 있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가운데 알테오젠(1.54%)과 씨젠(0.53%)의 주가만 상승하고 있다.
반면 셀트리온헬스케어(-1.40%), 에코프로비엠(-3.76%), 엘앤에프(-2.11%), HLB(-0.24%), 카카오게임즈(-2.14%), 펄어비스(-1.33%), 셀트리온제약(-0.90%), 천보(-1.28%)의 주가는 내리고 있다. 김서아 기자
전날 미국 물가상승과 주요 은행주의 실적부진에 따른 주가 하락으로 뉴욕증시 3대 지수가 혼조세로 마감한 영향이 국내 증시에도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 15일 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가 전날보다 높게 시작해 외국인과 기관의 쌍끌이 매도에 하락세로 전환했다.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15일 오전 9시37분 기준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20.16포인트(0.87%) 내린 2302.16을 보이고 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12.80포인트(0.55%) 높은 2335.12에 장을 시작했으나 외국인과 기관투자자의 쌍끌이 매도에 하락 전환했다.
현재 코스피시장에서 개인투자자는 2344억 원 규모 주식을 순매수하고 있다. 반면 기관투자자는 1620억 원, 외국인투자자는 845억 원어치 주식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간밤 미국 뉴욕증시는 7월 말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1%포인트 금리인상 가능성과 미국 최대 은행인 JP모간체이스가 내놓은 악화한 2분기 실적 등의 영향으로 3대 지수가 혼조세로 장을 마감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0.46%,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30% 하락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만 0.03% 상승했다.
미국 노동부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이어 6월 생산자물가지수(PPI)를 발표했는데 1년 전보다 11.3% 올랐다.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같은 날 미국 최대은행인 JP모간은 2분기 실적을 발표했는데 대손충당금 확대로 2분기 순이익이 28%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피시장 급등주를 보면 진원생명과학(9.09%), 이연제약(4.36%), 모두투어리츠(1.28%), 팜젠사이언스(2.62%) 등이 있다.
시가총액 상위 10종목을 살펴보면 삼성전자(1.22%), SK하이닉스(2.45%), 삼성SDI(0.55%) 등 3개 종목의 주가만 상승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0.13%), 삼성바이오로직스(-1.09%), 현대차(-1.37%), 네이버(-1.93%), LG화학(-3.58%), 기아(-1.65%), 카카오(-2.64%)의 주가는 하락하고 있다.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5.97포인트(0.78%) 내린 760.11을 나타내고 있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2.33포인트(0.30%) 오른 768.41에 거래를 시작했다.
코스닥지수 하락도 외국인투자자와 기관투자자가 이끌고 있다.
외국인투자자는 572억 원, 기관투자자는 275억 원 규모 주식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반면 개인투자자는 865억원어치 주식을 순매수하고 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메디콕스(24.58%), 셀리드(17.40%), 셀루메드(15.11%), 보광산업(12.38%) 등이 크게 오르고 있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가운데 알테오젠(1.54%)과 씨젠(0.53%)의 주가만 상승하고 있다.
반면 셀트리온헬스케어(-1.40%), 에코프로비엠(-3.76%), 엘앤에프(-2.11%), HLB(-0.24%), 카카오게임즈(-2.14%), 펄어비스(-1.33%), 셀트리온제약(-0.90%), 천보(-1.28%)의 주가는 내리고 있다. 김서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