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0대 그룹 사외이사 경력분류. <리더스인덱스>
10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국내 30대 그룹 가운데 사업보고서를 제출하는 219개 기업의 올해 1분기 기준 사외이사 795명의 출신 이력을 조사한 결과 28.7%(288명)가 관료 출신인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분기 26.9%(214명)보다 1.8%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관료 출신 사외이사 228명 가운데는 법원(판사) 출신이 1년 전보다 10명 증가한 45명(19.7%)으로 가장 많았다. 검찰 출신은 지난해 1분기보다 5명 늘어난 41명(18.0%)으로 나타났다.
전체 관료 출신 사외이사 가운데 법원과 검찰을 합친 법조 출신이 37.7%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국세청 33명(14.5%), 기획재정부 13명(5.7%), 산업자원부 12명(5.3%), 공정거래위원회 10명(4.4%) 등의 순이었다.
올해 신규로 선임된 167명의 사외이사 중에서는 관료 출신이 30.5%(51명)를 차지했다. 신규 사외이사 가운데 검찰과 법원(판사)출신은 각각 13명으로 전체 관료 출신의 절반을 넘었다.
사외이사 이력 가운데 학계출신이 34.8%(277명)로 가장 많았으나 1년 전 36.5%(290명)보다 비중은 1.7%포인트 줄었다. 세무·회계 출신이 10.2%, 재계출신이 8.9%를 차지했다. 지난해 1분기보다 세무·회계 출신은 1.5%포인트 늘었고 재계출신은 1.4%포인트 감소했다. 변호사(3.0%), 언론(2.5%), 공공기관 (1.5%), 정계(1.0%) 출신이 뒤를 이었다.
한편 자본시장법 개정을 앞두고 여성 사외이사가 늘어나면서 30대 그룹의 여성 사외이사 비중이 처음으로 15%에 다달았다.
여성 사외이사는 올 1분기 119명으로 지난해 1분기 78명보다 비교해 52.6% 증가하며 전체 사외이사의 14.97%를 차지했다. 여성 사외이사 중 학계 출신은 40.3%(48명), 관료 출신은 26.1%(31명)으로 집계됐다.
8월 시행되는 개정 자본시장법은 자산이 2조 원을 넘는 기업은 이사회에 여성 이사를 반드시 1명 이상 두도록 규정하고 있다. 허원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