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정은보 금융감독원 원장이 임원들에게 테마주 형성 등 불공정거래에 엄정 대응을 주문했다.
정 원장은 4일 자본시장 관련 임원회의에서 “최근 금리 인상, 인플레이션 우려, 러시아 사태 등으로 시장이 전반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에서 테마주 형성 등 시장 분위기에 편승한 불공정거래 개연성이 나타나고 있다”며 “시장의 신뢰가 떨어지고 투자자 피해가 우려되므로 시장 질서를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관련 부서들의 조사 역량을 집중해 철저히 조사하고 금융위원회와 한국거래소 등 유관기관과도 긴밀히 공조해 불공정거래 혐의가 발견될 경우 엄정 조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불공정거래에는 사업 내용을 허위·과장 홍보해 주가를 올리거나 상장기업 인수 및 사업 추진 과정에서 취득한 미공개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등이 포함된다.
정 원장은 “4월 말 현재 10건의 투자조합이 연관된 불공정거래 사건을 조사하고 있다”며 “다수의 투자조합을 이용한 지분인수 등 공시의무 회피 가능성이 높은 사항에 대한 기획심사를 통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제도적 미비점을 찾아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차화영 기자
정 원장은 4일 자본시장 관련 임원회의에서 “최근 금리 인상, 인플레이션 우려, 러시아 사태 등으로 시장이 전반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에서 테마주 형성 등 시장 분위기에 편승한 불공정거래 개연성이 나타나고 있다”며 “시장의 신뢰가 떨어지고 투자자 피해가 우려되므로 시장 질서를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 정은보 금융감독원장.
그는 “관련 부서들의 조사 역량을 집중해 철저히 조사하고 금융위원회와 한국거래소 등 유관기관과도 긴밀히 공조해 불공정거래 혐의가 발견될 경우 엄정 조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불공정거래에는 사업 내용을 허위·과장 홍보해 주가를 올리거나 상장기업 인수 및 사업 추진 과정에서 취득한 미공개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등이 포함된다.
정 원장은 “4월 말 현재 10건의 투자조합이 연관된 불공정거래 사건을 조사하고 있다”며 “다수의 투자조합을 이용한 지분인수 등 공시의무 회피 가능성이 높은 사항에 대한 기획심사를 통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제도적 미비점을 찾아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