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루블화 가치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면서 미국 등 주요 국가의 경제제재가 실질적으로 큰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31일 AP통신 보도에 따르면 현재 루블화 가치는 미화 1달러당 85루블 안팎에서 거래되고 있다.
 
러시아 루블화 가치 회복세로 전환, 미국 유럽 경제제재 효력에 의문

▲ 러시아 루블화 이미지.


루블화 가치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미국 정부가 경제제재 조치를 내놓은 뒤 1달러당 150루블까지 떨어져 거래됐는데 하락폭을 대부분 만회한 것이다.

러시아에 원유와 천연가스 등 에너지 수입을 크게 의존하는 유럽 국가들이 러시아 정부 정책에 따라 계속 루블화를 지불하며 수입을 지속한 데 따른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달러 및 유로화를 루블화로 환전하려는 수요가 유지되며 가치 상승을 이끌었다는 것이다.

유럽 국가들은 러시아를 대상으로 수입 금지 등 경제제재 조치를 내놓았지만 에너지는 규제 대상에 포함하지 않았다.

중국과 인도 역시 계속 러시아에서 원유 및 천연가스를 수입하고 있다.

결국 유럽 국가들이 러시아에 에너지 수입 의존을 낮추지 않는 이상 경제제재조치가 예상한 만큼의 효력을 발휘하지 못 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AP통신은 한 미국 상원의원의 말을 인용해 “루블화 가치 회복은 미국 경제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큰 타격을 입히지 못 했다는 의미”라며 “전 세계에서 러시아의 에너지 수입을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 정부와 의회는 러시아를 대상으로 추가 경제제재 도입 가능성을 논의하고 있다.

하지만 AP통신은 러시아에 에너지를 크게 의존하는 독일 등 유럽 국가에서 미국 정부의 요구를 받아들이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러시아산 원유 공급 감소로 국제유가가 이미 가파르게 상승한 만큼 유럽 국가들의 에너지 수입 중단은 세계 경제 전반에 더 큰 리스크로 이어질 수도 있다.

AP통신은 러시아가 원유와 천연가스를 루블화 가치 유지에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며 경제제재의 효력과 관련한 전문가들의 의문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고 바라봤다.

러시아 중앙은행이 최근 기준금리를 20%까지 높이고 루블화를 달러 및 유로화로 환전하는 데 엄격한 제한조치를 도입한 점도 루블화 가치 하락을 방어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AP통신은 러시아 중앙은행이 이런 조치를 장기간 지속하기 어려운 만큼 중장기적으로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루블화 가치는 하락세를 나타낼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