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CJ올리브영이 지난해 사상 최대실적을 거뒀다.
CJ올리브영은 2021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2조1192억 원, 영업이익 1378억 원을 거뒀다고 24일 밝혔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13%, 영업이익은 38% 늘었다. 코로나19 확산 이전 최대실적을 거둔 2019년보다도 높은 실적을 기록했다.
CJ올리브영은 옴니채널 전략의 성공으로 온·오프라인 고른 성장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CJ올리브영의 온라인채널의 매출 비중은 지난해 17%에서 23%로 늘어났다.
또한 헬스앤뷰티(H&B)업계의 신규 출점 둔화 추세에도 불구하고 CJ올리브영은 매장수를 6개 늘리는 등 온오프라인 채널을 연계하는 옴니채널 전략에 공을 들여왔다.
특히 2018년 선보인 매장에서 상품을 즉시 배송해주는 ‘오늘드림’ 서비스의 성장이 눈에 띈다. 지난해 서울지역 온라인 주문 가운데 ‘오늘드림’의 비중은 38%에 달했다.
CJ올리브영은 올해도 도심형물류거점(MFC)를 확대운영하고 매장 250여 개 점을 재단장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를 통해 CJ올리브영은 서울지역 빠른배송의 점유율을 70%까지 늘리겠다는 목표를 정했다.
해외사업은 디지털 전환으로 성과를 냈다.
K뷰티의 허브역할을 맡은 올리브영 글로벌몰과 라쿠텐, 큐텐 등의 일본 현지 제휴몰의 성장률은 지난해 세 자릿수를 기록했다.
CJ올리브영은 올해 올리브영 글로벌몰의 현지 외국인 회원수를 100만 명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세웠다.
CJ올리브영 관계자는 “건강한 아름다움을 지향하는 옴니채널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으로 진화하겠다”며 “카테고리 확장 등 신성장 동력을 발굴하기 위한 투자도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CJ올리브영이 최대실적을 거두면서 기업공개에도 힘이 실릴 것으로 예상된다.
투자은행업계에서는 CJ올리브영의 기업공개가 CJ그룹 오너가의 지분승계에 있어 자금 마련의 지렛대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기업가치를 높게 인정받을 수 있는 시점에 기업공개를 추진할 것으로 보고 있다.
CJ올리브영은 상장을 위해 지난해 11월 미래에셋증권·모건스탠리를 대표 주관사로, KB증권·크레디트스위스CS를 공동주관사로 선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재희 기자
CJ올리브영은 2021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2조1192억 원, 영업이익 1378억 원을 거뒀다고 24일 밝혔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13%, 영업이익은 38% 늘었다. 코로나19 확산 이전 최대실적을 거둔 2019년보다도 높은 실적을 기록했다.

▲ CJ올리브영 로고.
CJ올리브영은 옴니채널 전략의 성공으로 온·오프라인 고른 성장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CJ올리브영의 온라인채널의 매출 비중은 지난해 17%에서 23%로 늘어났다.
또한 헬스앤뷰티(H&B)업계의 신규 출점 둔화 추세에도 불구하고 CJ올리브영은 매장수를 6개 늘리는 등 온오프라인 채널을 연계하는 옴니채널 전략에 공을 들여왔다.
특히 2018년 선보인 매장에서 상품을 즉시 배송해주는 ‘오늘드림’ 서비스의 성장이 눈에 띈다. 지난해 서울지역 온라인 주문 가운데 ‘오늘드림’의 비중은 38%에 달했다.
CJ올리브영은 올해도 도심형물류거점(MFC)를 확대운영하고 매장 250여 개 점을 재단장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를 통해 CJ올리브영은 서울지역 빠른배송의 점유율을 70%까지 늘리겠다는 목표를 정했다.
해외사업은 디지털 전환으로 성과를 냈다.
K뷰티의 허브역할을 맡은 올리브영 글로벌몰과 라쿠텐, 큐텐 등의 일본 현지 제휴몰의 성장률은 지난해 세 자릿수를 기록했다.
CJ올리브영은 올해 올리브영 글로벌몰의 현지 외국인 회원수를 100만 명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세웠다.
CJ올리브영 관계자는 “건강한 아름다움을 지향하는 옴니채널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으로 진화하겠다”며 “카테고리 확장 등 신성장 동력을 발굴하기 위한 투자도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CJ올리브영이 최대실적을 거두면서 기업공개에도 힘이 실릴 것으로 예상된다.
투자은행업계에서는 CJ올리브영의 기업공개가 CJ그룹 오너가의 지분승계에 있어 자금 마련의 지렛대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기업가치를 높게 인정받을 수 있는 시점에 기업공개를 추진할 것으로 보고 있다.
CJ올리브영은 상장을 위해 지난해 11월 미래에셋증권·모건스탠리를 대표 주관사로, KB증권·크레디트스위스CS를 공동주관사로 선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