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대한항공 주식 매수의견이 유지됐다.
화물 운임 상승에 힘입어 올해 1분기에 호실적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23일 박성봉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대한항공 목표주가 4만1천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대한항공 주가는 22일 2만9950원에 거래를 마쳤다.
박 연구원은 "대한항공은 올해 1분기에도 화물 운임 상승의 수혜를 볼 것으로 기대된다"고 내다봤다.
화물 수송(FTK)은 비수기와 2월 조업일수 감소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4분기보다 줄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8%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또 화물 운임(Yield)은 지난해 1분기보다 37.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대한항공은 올해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2조9천억 원, 영업이익 5257억 원을 거둘 것으로 추산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62%, 영업이익은 423.1% 늘어나는 것이다.
해외여행 재개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국제선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봤다.
미국과 유럽 등 주요 국가들은 코로나19 확진자가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입국자 방역조치를 완화했다.
한국도 21일부터 백신 접종을 완료한 입국자들을 대상으로 기존 7일간의 자가격리 조치를 해제했다.
이에 따라 동남아 관광지와 미국, 유럽 등 해외 여행상품 판매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박 연구원은 "국내 항공사들은 국제선 증편을 추진하고 있다"며 "대한항공도 일본, 괌 유럽 등으로 증편을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 2분기부터 국제선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바라봤다.
대한항공은 2022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11조4980억 원, 영업이익 1조5198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2021년과 비교해 매출은 27.5%, 영업이익은 7.1% 늘어나는 것이다. 은주성 기자
화물 운임 상승에 힘입어 올해 1분기에 호실적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 조원태 대한항공 대표이사 겸 한진그룹 회장.
23일 박성봉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대한항공 목표주가 4만1천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대한항공 주가는 22일 2만9950원에 거래를 마쳤다.
박 연구원은 "대한항공은 올해 1분기에도 화물 운임 상승의 수혜를 볼 것으로 기대된다"고 내다봤다.
화물 수송(FTK)은 비수기와 2월 조업일수 감소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4분기보다 줄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8%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또 화물 운임(Yield)은 지난해 1분기보다 37.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대한항공은 올해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2조9천억 원, 영업이익 5257억 원을 거둘 것으로 추산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62%, 영업이익은 423.1% 늘어나는 것이다.
해외여행 재개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국제선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봤다.
미국과 유럽 등 주요 국가들은 코로나19 확진자가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입국자 방역조치를 완화했다.
한국도 21일부터 백신 접종을 완료한 입국자들을 대상으로 기존 7일간의 자가격리 조치를 해제했다.
이에 따라 동남아 관광지와 미국, 유럽 등 해외 여행상품 판매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박 연구원은 "국내 항공사들은 국제선 증편을 추진하고 있다"며 "대한항공도 일본, 괌 유럽 등으로 증편을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 2분기부터 국제선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바라봤다.
대한항공은 2022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11조4980억 원, 영업이익 1조5198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2021년과 비교해 매출은 27.5%, 영업이익은 7.1% 늘어나는 것이다. 은주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