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의 목돈 마련을 돕기 위해 마련된 청년희망적금에 290만 명 넘는 가입자가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 등 11곳 은행이 2월21일부터 3월4일까지 청년희망적금 신청을 받은 결과 약 290만 명이 가입한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가 당초 예상한 가입자(38만 명)의 7배를 훌쩍 넘는 규모다.
가입했다가 바로 해지한 계좌는 집계에 포함되지 않았다.
청년희망적금은 만기까지 납입하면 기본 이자에 저축장려금과 비과세 혜택 등을 추가로 지원하는 상품으로 사실상 최고 연 10% 금리 혜택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관심을 끌었다.
막상 적금을 유치한 시중은행들은 청년희망적금 흥행에 걱정이 커지고 있다.
청년희망적금은 은행으로서는 팔수록 손해가 나는 상품이기 때문이다.
청년희망적금은 기본금리만 5.0%로 일반 적금 상품과 비교해 금리가 2%포인트 더 높은데 심지어 대출금리(4%)보다도 금리가 더 높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팔라고 하니 팔기는 하는데 우리도 그렇고 다들 어쩔 수 없이 판매를 시작했을 것이다”며 “손해를 볼 것이라고 예상하고는 있었지만 가입자가 예상을 웃돌면서 부담도 더 커졌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차화영 기자]
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 등 11곳 은행이 2월21일부터 3월4일까지 청년희망적금 신청을 받은 결과 약 290만 명이 가입한 것으로 집계됐다.

▲ 청년희망적금에 290만 명가량이 가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합뉴스>
정부가 당초 예상한 가입자(38만 명)의 7배를 훌쩍 넘는 규모다.
가입했다가 바로 해지한 계좌는 집계에 포함되지 않았다.
청년희망적금은 만기까지 납입하면 기본 이자에 저축장려금과 비과세 혜택 등을 추가로 지원하는 상품으로 사실상 최고 연 10% 금리 혜택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관심을 끌었다.
막상 적금을 유치한 시중은행들은 청년희망적금 흥행에 걱정이 커지고 있다.
청년희망적금은 은행으로서는 팔수록 손해가 나는 상품이기 때문이다.
청년희망적금은 기본금리만 5.0%로 일반 적금 상품과 비교해 금리가 2%포인트 더 높은데 심지어 대출금리(4%)보다도 금리가 더 높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팔라고 하니 팔기는 하는데 우리도 그렇고 다들 어쩔 수 없이 판매를 시작했을 것이다”며 “손해를 볼 것이라고 예상하고는 있었지만 가입자가 예상을 웃돌면서 부담도 더 커졌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