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가 서울 지하철 1~8호선 및 9호선 일부 구간의 운영을 통해 거둔 운수수입이 2년 연속 감소했다.
서울교통공사는 3일 ‘2021년 수송인원 분석결과’를 통해 지난해 운수수입으로 1조1542억 원을 거뒀다고 밝혔다.
서울교통공사의 운수수입은 2019년에 1조6367억 원이었지만 코로나19 확산 이후인 2020년에 1조1932억 원으로 줄었고 2021년에도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서울교통공사는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 원인으로 추정되는 운수수입 감소분은 4825억 원”이라며 “2021년 서울교통공사의 순손실로 추정되는 1조 원 초반의 절반에 가까운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총 수송인원은 19억5103명으로 2019년보다 0.9%(1657만 명) 늘어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9년 26억7143만 명과 비교하면 26.9% 적은 수치다.
지난해 총 수송인원의 소폭 증가는 지하철역이 새로 개통된 데 따른 효과로 분석됐다.
서울교통공사는 “지난해 수송인원은 재작년보다 미약하게 늘었지만 5호선 강일역, 하남시청역, 하남검단산역, 8호선 남위례역 등 새로 개통한 역들의 이용인원이 추가된 것을 고려하면 사실상 기존 역의 이용인원은 변화가 없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2021년 무임수송 인원은 2억574만 명으로 2020년보다 1006만 명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무임수송 대상은 65세 이상 노인,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으로 무임수송 인원의 비중은 전체 수송인원 가운데 15.9%에 이른다.
65세 이상 노인의 무임수송 인원은 2020년보다 1071만 명 늘어난 1억7077만 명으로 전체 무임수송 인원 가운데 83.0%를 차지했다.
서울교통공사는 “나날이 늘어나는 무임수송 손실에 대응하기 위해 서울교통공사는 중앙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국회에 도시철도법 개정을 요청하고 있다”며 “서울교통공사는 도시철도법 개정안이 조속히 시행돼 공익서비스 비용을 지원받아 노후시설 개량 등에 적기에 투자함으로써 승객들에게 지속적으로 양질의 서비스가 제공되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상호 기자]
서울교통공사는 3일 ‘2021년 수송인원 분석결과’를 통해 지난해 운수수입으로 1조1542억 원을 거뒀다고 밝혔다.

▲ 서울교통공사 로고.
서울교통공사의 운수수입은 2019년에 1조6367억 원이었지만 코로나19 확산 이후인 2020년에 1조1932억 원으로 줄었고 2021년에도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서울교통공사는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 원인으로 추정되는 운수수입 감소분은 4825억 원”이라며 “2021년 서울교통공사의 순손실로 추정되는 1조 원 초반의 절반에 가까운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총 수송인원은 19억5103명으로 2019년보다 0.9%(1657만 명) 늘어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9년 26억7143만 명과 비교하면 26.9% 적은 수치다.
지난해 총 수송인원의 소폭 증가는 지하철역이 새로 개통된 데 따른 효과로 분석됐다.
서울교통공사는 “지난해 수송인원은 재작년보다 미약하게 늘었지만 5호선 강일역, 하남시청역, 하남검단산역, 8호선 남위례역 등 새로 개통한 역들의 이용인원이 추가된 것을 고려하면 사실상 기존 역의 이용인원은 변화가 없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2021년 무임수송 인원은 2억574만 명으로 2020년보다 1006만 명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무임수송 대상은 65세 이상 노인,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으로 무임수송 인원의 비중은 전체 수송인원 가운데 15.9%에 이른다.
65세 이상 노인의 무임수송 인원은 2020년보다 1071만 명 늘어난 1억7077만 명으로 전체 무임수송 인원 가운데 83.0%를 차지했다.
서울교통공사는 “나날이 늘어나는 무임수송 손실에 대응하기 위해 서울교통공사는 중앙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국회에 도시철도법 개정을 요청하고 있다”며 “서울교통공사는 도시철도법 개정안이 조속히 시행돼 공익서비스 비용을 지원받아 노후시설 개량 등에 적기에 투자함으로써 승객들에게 지속적으로 양질의 서비스가 제공되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