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공사 목표주가가 낮아졌다.

2022년 들어 전기요금이 인상되겠지만 전력 생산에 필요한 에너지 원가 상승폭이 더 커지며 수익성 악화를 이끌 것으로 전망됐다.
 
한전 목표주가 하향, "원가 올라 2분기까지 대규모 적자 예상"

▲ 정승일 한국전력공사 사장.


문경원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19일 한국전력 목표주가를 기존 2만6천 원에서 2만3천 원으로 낮춰 잡았다. 투자의견은 중립(HOLD)을 유지했다.

18일 한국전력 주가는 2만900원에 거래를 마쳤다.

한국전력은 2021년 4분기에 시장 추정치보다 더 큰 영업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됐다.

문 연구원은 “한국전력의 2021년 4분기 연결기준 영업손실은 5조5400억 원을 기록했을 것이다”라며 “에너지 원가가 크게 상승한 가운데 전기요금이 동결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2021년 4분기 석탄 수입가격은 직전 분기보다 26.9% 올랐으며 LNG 수입가격도 같은 기간 47.7% 상승했다. 

한국전력공사는 2022년 상반기까지 영업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문 연구원은 “2022년 전기요금 인상이 이뤄지는 점은 수익성에 긍정적”이라면서도 “요금 인상이 시작되는 2분기까지 대규모 적자가 불가피하고 요금 인상폭보다 원가가 더 크게 오른 것이 문제”라고 바라봤다.

그는 분기별 연료비 조정단가 인상까지 이루어지면 2022년 말에 1kWh당 16.8원의 전기요금 인상이 가능하겠지만 손익분기점을 달성하기 위해 1kWh당 26원 이상을 인상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문 연구원은 현재 전기요금 인상 계획에 변화가 없고 유가가 80달러 안팎으로 유지된다면 한국전력이 2022년 연간으로 10조 원 이상의 영업손실을 기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2022년 3분기 이후에는 실적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됐다.

문 연구원은 “3분기부터 원자재 가격 안정화와 요금 인상으로 적자폭이 줄어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투자의견 중립(HOLD)를 유지한다”고 말했다. 

한국전력은 2022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66조5641억 원, 영업손실 10조919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1년 실적 추정치보다 매출은 10.6%, 영업손실은 16.4%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