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가 메모리반도체의 수요부진과 가격하락으로 1분기에 실적이 크게 뒷걸음질했다.
SK하이닉스는 1분기에 매출 3조6560억 원, 영업이익 5620억 원을 냈다고 26일 밝혔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24%, 영업이익은 65% 급감했다.
![]() |
||
▲ 박성욱 SK하이닉스 사장. |
김준호 SK하이닉스 경영지원부문장 사장은 "PC용 D램의 가격하락폭이 예상보다 크고 모바일과 서버용 반도체의 성장세도 기대보다 부진했다"며 "스마트폰업체들의 메모리 고용량화로 수혜를 봤지만 타격을 상쇄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말했다.
SK하이닉스의 D램 출하량은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해 3%, 평균가격은 14% 줄었다. 낸드플래시 역시 출하량이 11%, 평균가격이 12% 감소했다.
1분기 전체매출에서 D램이 차지하는 비중이 76%로 높아 가격하락폭이 더 큰 D램 업황의 부진에 따른 직격타를 피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김 사장은 당분간 메모리반도체 업황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인정했다. 또 2분기에 환율효과가 SK하이닉스에 불리하게 변하고 있어 1분기보다 악영향이 클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스마트폰업체들의 메모리 고용량화 추세가 이어지고 애플 등 주요 고객사의 신제품 출시가 임박해 모바일부문에서는 실적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김 사장은 "메모리 수요둔화와 업체의 경쟁심화로 시장의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며 "하지만 어려운 상황일수록 빛나는 SK하이닉스의 DNA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