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개발기업 에스티큐브가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면역항암제 임상을 추진한다.
에스티큐브는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hSTC810의 임상1상 승인을 위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했다고 6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이번 임상은 진행성 고형암 환자에서 hSTC810 단독 요법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예비 유효성을 조사하기 위해 계획됐다.
국내 임상은 신촌세브란스병원에서 진행된다.
에스티큐브는 조만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글로벌 임상시험계획을 신청하고 앰디앤더슨암센터, 예일암센터, 마운트사이나이병원 3곳에서 임상에 들어간다는 계획도 세웠다.
에스티큐브에 따르면 hSTC810의 타깃인 면역관문단백질 BTN1A1은 기존 면역조절억제제 타깃인 PD-L1이 잘 발현하지 않는 고형암에서 높은 발현율을 보인다.
에스티큐브 관계자는 “hSTC810이 기존 면역항암제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암 환자들의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
에스티큐브는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hSTC810의 임상1상 승인을 위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했다고 6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 에스티큐브 로고.
이번 임상은 진행성 고형암 환자에서 hSTC810 단독 요법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예비 유효성을 조사하기 위해 계획됐다.
국내 임상은 신촌세브란스병원에서 진행된다.
에스티큐브는 조만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글로벌 임상시험계획을 신청하고 앰디앤더슨암센터, 예일암센터, 마운트사이나이병원 3곳에서 임상에 들어간다는 계획도 세웠다.
에스티큐브에 따르면 hSTC810의 타깃인 면역관문단백질 BTN1A1은 기존 면역조절억제제 타깃인 PD-L1이 잘 발현하지 않는 고형암에서 높은 발현율을 보인다.
에스티큐브 관계자는 “hSTC810이 기존 면역항암제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암 환자들의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