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오션 주식 투자의견이 매수로 상향됐다. 

최근 주가 낙폭 과대로 상승여력이 있을 것으로 파악됐다.
 
팬오션 주식 매수의견으로 상향, "주가 낙폭 과대해 상승여력 늘어"

▲ 안중호 팬오션 대표이사 부사장.


유승우 SK증권 연구원은 21일 팬오션 목표주가를 기존과 같은 7400원으로 유지했다. 투자의견은 중립(HOLD)에서 매수(BUY)로 상향됐다.

20일 팬오션 주가는 6270원에 장을 마감했다.

유 연구원은 “기존 가치평가 기준에 따른 목표주가 7400원을 유지하지만 최근 주가 낙폭 과대로 상승여력이 18%가 돼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했다”고 설명했다.

팬오션은 3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2191억 원, 영업이익 1438억 원을 낸 것으로 추정됐다. 유 연구원은 “2분기에 이어 다시 한 번 1천억 원을 웃도는 분기 영업이익을 거둘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이다”고 평가했다.

다만 벌크선업황이 긍정적이지만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유 연구원은 “중국이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철강의 감산기조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에 벌크선 수요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고 파악했다.

전체 벌크선 물동량 구성에서 철강 생산의 원재료인 철광석과 제철용 석탄 비중은 35%에 이른다. 세계 철광석 물동량의 70%가 중국으로부터 발생하기 때문에 중국의 철강 생산기조 변화는 벌크선업황에 매우 큰 변수로 꼽힌다.

게다가 9월 말 극심했던 중국 항만의 선박 적체현상도 해소국면으로 접어들며 선박 공급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유 연구원은 “전체적으로 벌크선 수요가 줄어드는 방향이고 공급도 점차 늘어나는 구간이라는 점에서 최근까지 이어진 벌크선 운임지수 강세가 지속되기는 힘들다”고 봤다.

팬오션은 2021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4조380억 원, 영업이익 414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와 비교해 매출은 61.7%, 영업이익은 83.7%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류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