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아파트값이 주춤하고 있다.
14일 한국부동산원은 11일 기준 10월2주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이 0.32% 올랐다고 밝혔다. 상승폭은 지난주(0.34%)보다 0.02%포인트 줄었다.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률은 7월3주 이후 9월2주(0.4%)까지 최고치를 기록해 오다가 최근 주택담보대출 금리인상 등의 영향으로 상승세가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다.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17% 올랐다. 2020년 6월2주 이후 71주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상승폭은 지난주(0.19%)보다 0.02%포인트 축소됐다.
서울 강북 14개구 아파트값은 1주 전보다 0.17% 올랐다. 상승폭은 지난주와 같았다.
용산구(0.26%)는 리모델링 기대감 있는 이촌동이나 신계동 신축위주로, 마포구(0.26%)는 아현동 대흥동 등 주요 단지의 신고가 거래 영향으로 값이 올랐다.
노원구(0.22%)는 교육환경이 좋은 중계동과 상계동 대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강남 11개구는 지난주보다 아파트 가격이 0.18% 상승했다. 상승폭은 지난주보다 0.02% 포인트 낮아졌다.
강남구(0.23%)는 압구정동과 역삼동 위주로, 송파구(0.22%)는 문정동과 신천동 위주로 값이 올랐다.
강서구(0.19%)는 마곡지구와 가양동 위주로, 동작구(0.19%)는 상도동과 신대방동 대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경기도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39% 높아졌다.
오산시(0.75%)는 누읍동과 양산동 준신축 단지 위주로, 안성시(0.62%)는 교통호재 있는 아양동과 중리동 위주로 값이 올랐다.
이천시(0.55%)는 교통환경 양호한 안흥동 위주로, 의왕시(0.53%)는 삼동과 오전동 위주로, 군포시(0.52%)는 당정동과 도마교통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인천시 아파트 값은 지난주보다 0.42% 올랐다.
연수구(0.52%)는 교통호재가 있는 옥련동과 선학동 위주로, 계양구(0.50%)는 효성동과 작전동 역세권 대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부평구(0.44%)는 주거환경 개선 기대감이 있는 십정동과 청천동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전국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27% 상승했다. 상승폭은 지난주(0.28%)보다 0.01%포인트 낮아졌다.
시도별로는 인천(0.42%), 충북(0.40%), 경기(0.39%), 충남(0.31%), 부산(0.28%), 제주(0.28%), 대전(0.27%), 경남(0.25%), 광주(0.24%)등은 상승했으며 세종(-0.01%)은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가운데 지난주 보다 아파트값이 오른 지역은 165곳으로 지난주보다 4곳 줄었다. 보합 지역은 지난주보다 한 곳 늘어 4곳이고 하락지역은 지난주보다 3곳 더 늘어 7곳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다정 기자]
14일 한국부동산원은 11일 기준 10월2주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이 0.32% 올랐다고 밝혔다. 상승폭은 지난주(0.34%)보다 0.02%포인트 줄었다.

▲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률은 7월3주 이후 9월2주(0.4%)까지 최고치를 기록해 오다가 최근 주택담보대출 금리인상 등의 영향으로 상승세가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다.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17% 올랐다. 2020년 6월2주 이후 71주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상승폭은 지난주(0.19%)보다 0.02%포인트 축소됐다.
서울 강북 14개구 아파트값은 1주 전보다 0.17% 올랐다. 상승폭은 지난주와 같았다.
용산구(0.26%)는 리모델링 기대감 있는 이촌동이나 신계동 신축위주로, 마포구(0.26%)는 아현동 대흥동 등 주요 단지의 신고가 거래 영향으로 값이 올랐다.
노원구(0.22%)는 교육환경이 좋은 중계동과 상계동 대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강남 11개구는 지난주보다 아파트 가격이 0.18% 상승했다. 상승폭은 지난주보다 0.02% 포인트 낮아졌다.
강남구(0.23%)는 압구정동과 역삼동 위주로, 송파구(0.22%)는 문정동과 신천동 위주로 값이 올랐다.
강서구(0.19%)는 마곡지구와 가양동 위주로, 동작구(0.19%)는 상도동과 신대방동 대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경기도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39% 높아졌다.
오산시(0.75%)는 누읍동과 양산동 준신축 단지 위주로, 안성시(0.62%)는 교통호재 있는 아양동과 중리동 위주로 값이 올랐다.
이천시(0.55%)는 교통환경 양호한 안흥동 위주로, 의왕시(0.53%)는 삼동과 오전동 위주로, 군포시(0.52%)는 당정동과 도마교통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인천시 아파트 값은 지난주보다 0.42% 올랐다.
연수구(0.52%)는 교통호재가 있는 옥련동과 선학동 위주로, 계양구(0.50%)는 효성동과 작전동 역세권 대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부평구(0.44%)는 주거환경 개선 기대감이 있는 십정동과 청천동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전국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27% 상승했다. 상승폭은 지난주(0.28%)보다 0.01%포인트 낮아졌다.
시도별로는 인천(0.42%), 충북(0.40%), 경기(0.39%), 충남(0.31%), 부산(0.28%), 제주(0.28%), 대전(0.27%), 경남(0.25%), 광주(0.24%)등은 상승했으며 세종(-0.01%)은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가운데 지난주 보다 아파트값이 오른 지역은 165곳으로 지난주보다 4곳 줄었다. 보합 지역은 지난주보다 한 곳 늘어 4곳이고 하락지역은 지난주보다 3곳 더 늘어 7곳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다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