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생활건강 주식 매수의견이 유지됐다.

화장품 '후'의 브랜드파워, 사업 다각화 효과 등으로 중장기적 관점에서 중국시장의 성과가 기대됐다. 
 
LG생활건강 주식 매수의견 유지, "중국에서 중장기적 성장 유효"

▲ 차석용 LG생활건강 대표이사 부회장


조미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23일 LG생활건강 목표주가를 210만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22일 LG생활건강 주가는 162만7천원에 장을 마쳤다.

조 연구원은 "2분기 현지 매출과 면세점 성과를 합한 중국시장의 수요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50% 늘어난 것이다"며 "사업의 다각화와 '후'의 브랜드파워로 중장기적 성장의 방향성은 유효하다"고 말했다.

중국 618쇼핑축제 이후 브랜드 '후' 등 화장품에 관한 기대감이 높았으나 2분기 화장품부문의 중국 현지 성장률은 2020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10% 증가하는데 그쳤다. 

중국 법인의 라이브 방송 등 디지털마케팅비용의 증가로 수익성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5% 하락한 모습을 보였다. 

면세점의 성과가 합쳐진다면 2분기 중국에서 성장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50%가 증가하는 것이나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하반기 투자심리가 위축될 우려가 있다. 

조 연구원은 "중국시장에서 매출이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단기적으로 조정은 있을 수 있으나 절대적 기업가치는 점진적으로 상승할 전망이다"고 바라봤다.

LG생활건강 매출은 2021년 2분기 기준으로 화장품이 55.2%, 생활용품 24.5%, 음료 20.2%로 구성돼있다.

생활용품부문에서는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해 위생용품의 매출이 300억 원 줄었으나 피지오겔과 미국 법인 성장으로 어느정도 방어했다. 생활용품부문 2분기 매출은 지난해 같은기간과 비교해 15% 늘고 영업이익은 7.0%감소했다.

음료부문에서는 국내 최대 캔 생산업체의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캔 수급문제가 발생했고 PET병 원가 상승 등의 원부자재 가격 압박이 있었다.

음료부문의 2분기 매출은 2020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7.4%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6.4% 줄었다.
   
LG생활건강은 2021년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8조5810억 원, 영업이익 1조4360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2020년과 비교해 매출은 9.3%, 영업이익은 10.2% 증가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다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