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해상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2분기 자동차보험 손해율의 하락 등에 힘입어 올해 순이익이 호조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전배승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1일 현대해상 목표주가를 3만 원에서 3만2천 원으로 높여 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로 유지했다.
6월30일 현대해상 주가는 2만55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전 연구원은 “현대해상은 2021년 큰 폭의 순이익 증가를 보일 것이다”며 “주가순자산비율(PBR) 0.5배 수준의 현재 주가는 예상 수익성과 비교해 낮게 평가됐다”고 봤다.
현대해상은 올해 2분기에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80%를 밑돌았을 것으로 추정됐다. 같은 기간 장기위험손해율도 96.2%로 1분기보다 소폭 떨어졌을 것으로 추산됐다.
전 연구원은 “하반기에 자동차 손해액 증가가 예상되지만 각종 제도 변화의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고 있어 상승규모는 크지 않을 것이다”며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의 논의가 진전된다면 실손보험 손해율이 높은 현대해상에 특히 긍정적 효과일 수 있다”고 내다봤다.
현대해상은 2021년에 연결기준으로 순이익 3976억 원을 올릴 것으로 예상됐다. 2020년보다 순이익이 30% 늘어나는 수준이다.
전 연구원은 “현대해상은 배당수익률 또한 5%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며 “높은 배당매력을 겸비했다”고 평가했다.
현대해상은 2021년 2분기 연결기준으로 순이익 1237억 원을 거뒀을 것으로 추산됐다. 2020년 같은 기간보다 31.4% 증가하는 수준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
2분기 자동차보험 손해율의 하락 등에 힘입어 올해 순이익이 호조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 조용일(왼쪽) 이성재 현대해상 각자대표이사.
전배승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1일 현대해상 목표주가를 3만 원에서 3만2천 원으로 높여 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로 유지했다.
6월30일 현대해상 주가는 2만55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전 연구원은 “현대해상은 2021년 큰 폭의 순이익 증가를 보일 것이다”며 “주가순자산비율(PBR) 0.5배 수준의 현재 주가는 예상 수익성과 비교해 낮게 평가됐다”고 봤다.
현대해상은 올해 2분기에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80%를 밑돌았을 것으로 추정됐다. 같은 기간 장기위험손해율도 96.2%로 1분기보다 소폭 떨어졌을 것으로 추산됐다.
전 연구원은 “하반기에 자동차 손해액 증가가 예상되지만 각종 제도 변화의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고 있어 상승규모는 크지 않을 것이다”며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의 논의가 진전된다면 실손보험 손해율이 높은 현대해상에 특히 긍정적 효과일 수 있다”고 내다봤다.
현대해상은 2021년에 연결기준으로 순이익 3976억 원을 올릴 것으로 예상됐다. 2020년보다 순이익이 30% 늘어나는 수준이다.
전 연구원은 “현대해상은 배당수익률 또한 5%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며 “높은 배당매력을 겸비했다”고 평가했다.
현대해상은 2021년 2분기 연결기준으로 순이익 1237억 원을 거뒀을 것으로 추산됐다. 2020년 같은 기간보다 31.4% 증가하는 수준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