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그린본드를 발행했다.
LG화학은 전체 10억 달러(약 1조1천억 원) 규모의 글로벌 그린본드를 발행에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그린본드는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동시에 발행해 유통되는 국제 채권으로 발행대금의 용도가 기후변화, 재생에너지 등의 친환경 프로젝트 및 인프라 투자에 한정된 채권이다.
LG화학은 그린본드로 확보한 자금을 △배터리소재 △친환경 플라스틱소재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관련 소재분야에 투자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LG화학은 2019년 전 세계 화학기업 최초로 15억6천만 달러(약 1조8천억 원)의 글로벌 그린본드를 발행한 데 이어 올해 2월 8200억 원의 원화 ESG채권을 발행했다.
이번에 10억 달러 규모의 그린본드를 발행함으로써 LG화학은 누적 기준으로 국내 일반기업 가운데 최대 규모인 약 3조7천억 원의 글로벌 ESG채권 발행 기록을 보유하게 됐다.
차동석 LG화학 최고재무책임자(CFO) 부사장은 "이번에 그린본드를 성공적으로 발행할 수 있었던 것은 환경과 관련된 LG화학의 노력을 투자자들이 긍정적으로 평가했기 때문이다"며 "ESG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통해 기업가치를 높이고 질적 성장을 위한 구체적 방안들을 실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장우 기자]
LG화학은 전체 10억 달러(약 1조1천억 원) 규모의 글로벌 그린본드를 발행에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 신학철 LG화학 대표이사 부회장.
그린본드는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동시에 발행해 유통되는 국제 채권으로 발행대금의 용도가 기후변화, 재생에너지 등의 친환경 프로젝트 및 인프라 투자에 한정된 채권이다.
LG화학은 그린본드로 확보한 자금을 △배터리소재 △친환경 플라스틱소재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관련 소재분야에 투자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LG화학은 2019년 전 세계 화학기업 최초로 15억6천만 달러(약 1조8천억 원)의 글로벌 그린본드를 발행한 데 이어 올해 2월 8200억 원의 원화 ESG채권을 발행했다.
이번에 10억 달러 규모의 그린본드를 발행함으로써 LG화학은 누적 기준으로 국내 일반기업 가운데 최대 규모인 약 3조7천억 원의 글로벌 ESG채권 발행 기록을 보유하게 됐다.
차동석 LG화학 최고재무책임자(CFO) 부사장은 "이번에 그린본드를 성공적으로 발행할 수 있었던 것은 환경과 관련된 LG화학의 노력을 투자자들이 긍정적으로 평가했기 때문이다"며 "ESG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통해 기업가치를 높이고 질적 성장을 위한 구체적 방안들을 실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장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