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에서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기업 지원 방안으로 인력과 상품 등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는 글로벌 공조를 강조했다.

윤태식 기획재정부 국제경제관리관은 25일 화상으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비공식 재무장관 및 기업인자문위원회 합동회의에 한국 정부 대표로 참석해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기업 생산활동의 핵심 요소인 인력과 물적자원 등의 이동을 보장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부, APEC회의에서 "기업 인력과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 허용해야"

▲ 기획재정부 로고.


윤 관리관은 ‘기업인 신속통로 제도’를 사례로 들며 각 국가들이 협력해 글로벌·지역적 공급망을 복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업 규제 개선방안에 관해서도 언급했다.

윤 관리관은 “디지털·그린 경제로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는 만큼 기업 규제정책에서도 민간의 ‘혁신정신’을 촉진하는 게 중요하다”며 “코로나19 위기 대응 과정에서 정부의 역할이 크게 확대됐지만 민간부문은 여전히 경제의 주요 주체”라고 말했다.

윤 관리관은 이날 회의에서 재정투자와 규제개혁을 핵심요소로 하는 한국판 뉴딜사업과 규제 샌드박스 정책 등을 소개했다. 

이번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회의에서는 회원국들의 재무장관을 비롯해 각 정부 대표, 기업인자문위원회 위원 등이 참석해 코로나19 위기 대응과 사후 평가, 경제회복을 위한 정부와 기업의 역할 등을 논의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