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목표주가가 낮아졌다.
배터리 자회사 LG에너지솔루션의 상장에 따른 모회사 할인(디스카운트) 가능성이 있다.
강동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2일 LG화학 목표주가를 기존 140만 원에서 110만 원으로 낮춰 잡고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1일 LG화학 주가는 82만5천 원에 거래를 마쳤다.
강 연구원은 LG에너지솔루션이 지분율 20%의 신주를 발행해 기업공개를 진행한다는 시나리오를 전제로 상장 뒤 LG에너지솔루션의 시가총액이 100조 원 이상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를 기반으로 LG화학 기업가치에 반영될 LG에너지솔루션의 기업가치를 47조5천억 원으로 계산했다. 80%의 지분을 들고 있지만 '모회사 할인'으로 LG에너지솔루션 기업가치의 50%만 반영했다.
모회사 할인은 흔히 지주사 할인(지주사 디스카운트)으로 알려져 있다. 모회사와 사업 자회사가 동시에 상장해 있다면 모회사의 기업가치에 반영되는 자회사의 기업가치가 저평가되는 현상을 말한다.
다만 강 연구원은 화학사업과 첨단소재사업 등 기존 사업이 LG화학 기업가치 개선을 이끌 것으로 내다봤다.
하반기 글로벌 인프라 관련 투자가 늘고 자동차 생산량이 회복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LG화학 석유화학사업본부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염화비닐(PVC), 비스페놀A(BPA), 합성고무 등 관련 원재료 수요가 증가하는 데 따른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됐다.
LG화학 첨단소재사업본부는 배터리소재 라인업을 다변화하고 핵심소재인 양극재의 생산설비를 증설하는 등 배터리소재사업을 꾸준히 확대할 것으로 전망됐다.
강 연구원은 “모회사 할인 가능성을 감안해 LG화학 목표주가를 낮췄다”면서도 “현재 주가는 과도한 저평가로 저가매수의 기회다”고 말했다.
LG화학은 2021년 연결기준 매출 42조9910억 원, 영업이익 5조456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42.9% 늘고 영업이익은 203.4% 급증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
배터리 자회사 LG에너지솔루션의 상장에 따른 모회사 할인(디스카운트) 가능성이 있다.

▲ 신학철 LG화학 대표이사 부회장.
강동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2일 LG화학 목표주가를 기존 140만 원에서 110만 원으로 낮춰 잡고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1일 LG화학 주가는 82만5천 원에 거래를 마쳤다.
강 연구원은 LG에너지솔루션이 지분율 20%의 신주를 발행해 기업공개를 진행한다는 시나리오를 전제로 상장 뒤 LG에너지솔루션의 시가총액이 100조 원 이상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를 기반으로 LG화학 기업가치에 반영될 LG에너지솔루션의 기업가치를 47조5천억 원으로 계산했다. 80%의 지분을 들고 있지만 '모회사 할인'으로 LG에너지솔루션 기업가치의 50%만 반영했다.
모회사 할인은 흔히 지주사 할인(지주사 디스카운트)으로 알려져 있다. 모회사와 사업 자회사가 동시에 상장해 있다면 모회사의 기업가치에 반영되는 자회사의 기업가치가 저평가되는 현상을 말한다.
다만 강 연구원은 화학사업과 첨단소재사업 등 기존 사업이 LG화학 기업가치 개선을 이끌 것으로 내다봤다.
하반기 글로벌 인프라 관련 투자가 늘고 자동차 생산량이 회복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LG화학 석유화학사업본부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염화비닐(PVC), 비스페놀A(BPA), 합성고무 등 관련 원재료 수요가 증가하는 데 따른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됐다.
LG화학 첨단소재사업본부는 배터리소재 라인업을 다변화하고 핵심소재인 양극재의 생산설비를 증설하는 등 배터리소재사업을 꾸준히 확대할 것으로 전망됐다.
강 연구원은 “모회사 할인 가능성을 감안해 LG화학 목표주가를 낮췄다”면서도 “현재 주가는 과도한 저평가로 저가매수의 기회다”고 말했다.
LG화학은 2021년 연결기준 매출 42조9910억 원, 영업이익 5조456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42.9% 늘고 영업이익은 203.4% 급증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