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신라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주식 투자의견도 매수로 상향됐다. 

호텔신라는 예상보다 강하고 빠른 수익성 개선세를 보이고 있어 올해 흑자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됐다.
 
호텔신라 주식 매수로 상향, "수익성 빠르게 좋아져 올해 흑자 가능"

▲ 이부진 호텔신라 대표이사 사장.


배송이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4일 호텔신라 목표주가를 기존 9만 원에서 11만 원으로 높이고 투자의견도 중립(HOLD)에서 매수(BUY)로 변경했다.

3일 호텔신라 주가는 8만92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배 연구원은 “호텔신라는 1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크게 웃돌았다”며 “공항 면세점 비용 부담이 2020년 대비 300억 원 수준 절감됐고 시내점 수익성도 개선됐기 때문인데 이런 요인들은 당분간 지속가능할 것이다”고 내다봤다.

호텔신라는 2021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3조7890억 원, 영업이익 167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0년보다 매출은 18.8% 증가하고 영업이익을 내 흑자전환하는 것이다.

호텔신라는 인천국제공항 면세점의 임차료 산출기준이 2020년 9월부터 고정비에서 매출 연동으로 바뀌면서 임차료 부담이 크게 줄었다. 또 올해 3월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T1)에서 철수하면서 비용 부담을 줄였다.

시내면세점은 소모적 경쟁을 최대한 지양하면서 수익성 위주의 경영을 펼치고 있다. 4월부터는 서울점을 중심으로 실적 개선흐름이 더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어 레버리지효과(매출이 늘어나는 데 따라 이익이 더욱 크게 증가되는 효과)도 기대되고 있다.

호텔&레저부문도 2020년 인력 축소를 진행해 고정비가 다소 축소된 효과를 누리고 있다.

배 연구원은 “호텔신라는 실적 정상화가 기대되는 2022년 예상 실적 기준 주가수익비율(PER)이 26배”라며 “호텔신라가 실적 반등 초입에 들어온 것을 감안하면 지금은 주식을 사도 부담이 없는 가격”이라고 분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