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0년 여신전문금융회사 순이익 현황. <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이 13일 발표한 '2020년 여신전문금융회사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2020년 기준 112개 여신전문금융회사의 순이익이 2조5639억 원으로 나타났다. 2019년 순이익 2조5057억 원보다 24.7% 늘어난 것이다.
이번 자료에 포함된 여신전문금융회사는 할부금융사 23곳, 리스사 26곳, 신기술금융회사 63곳 등이다.
할부·리스·신기술 등 여신전문금융회사 고유업무 순이익은 2019년보다 941억 원(3.3%) 증가했다. 렌탈이익과 유가증권 관련 이익은 같은 기간 각각 712억 원(27.2%), 1394억 원(94.8%) 늘어났다.
지난해 조달비용은 427억 원 증가했지만 대손비용은 350억 원 감소했다.
여신전문금융회사 총자산은 181조1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2019년보다 12.0% 증가했다.
고유업무 자산을 살펴보면 리스와 할부자산 증가로 5조1천억 원, 대출자산은 기업대출 증가로 9조1천억 원 늘었다.
연체율과 조정자기자본비율 등 건전성 지표도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2020년 말 기준 여신전문금융회사의 연체율은 1.26%로 집계돼 2019년보다 0.42%포인트 낮아졌다.
조정자기자본비율(16.4%)과 레버리지비율(6.7배)은 2019년 말과 큰 변동이 없었다. 2019년 말 기준 조정자기자본비율은 16.1%, 레버리지비율은 6.7배였다.
금감원 관계자는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여신전문금융회사의 총자산 및 순이익이 지속해서 증가했으며 건전성지표도 안정적으로 나타났다"면서도 "다만 코로나19 영향 장기화 가능성과 시장 불확실성 등에 대비하기 위해 여신전문금융회사의 유동성 현황과 건전성 지표에 관한 모니터링과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종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