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이 경상북도 청송군에 위치한 청송양수발전소 저수지에 수상 태양광발전설비를 설치했다.
한수원은 13일 청송양수발전소 하부댐 저수지인 청송호에서 4.4MW급 수상 태양광발전소 준공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윤경희 청송군수, 이광호 청송군의회 의장, 강태욱 진영토건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한수원은 청수호 면적의 약 5.7%에 해당하는 2만9450㎡에 태양광모듈을 설치했다. 이 설비를 통해 연간 5900MWh의 전력을 생산한다.
한수원은 환경오염에 관한 우려가 생기지 않도록 친환경·고내구성 수상용 태양광모듈을 설치했으며 앞으로 10년 이상 환경 모니터링을 진행한다.
수상태양광발전은 육상태양광발전보다 발전효율이 10%가량 높고 녹조현상을 막는 효과가 있으며 육상태양광발전의 단점으로 꼽히는 환경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한수원은 설명한다.
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은 “청송양수 수상 태양광발전소는 양수발전시설에 태양광발전을 겸해 친환경, 청정에너지를 안전하게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이며 “친환경과 안전이 핵심 키워드인 에너지전환시대에 청송양수 수상 태양광발전소가 그 모범사례가 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승리 기자]
한수원은 13일 청송양수발전소 하부댐 저수지인 청송호에서 4.4MW급 수상 태양광발전소 준공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 청송양수 수상태양광발전소 모습. <한국수력원자력>
이날 행사에는 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윤경희 청송군수, 이광호 청송군의회 의장, 강태욱 진영토건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한수원은 청수호 면적의 약 5.7%에 해당하는 2만9450㎡에 태양광모듈을 설치했다. 이 설비를 통해 연간 5900MWh의 전력을 생산한다.
한수원은 환경오염에 관한 우려가 생기지 않도록 친환경·고내구성 수상용 태양광모듈을 설치했으며 앞으로 10년 이상 환경 모니터링을 진행한다.
수상태양광발전은 육상태양광발전보다 발전효율이 10%가량 높고 녹조현상을 막는 효과가 있으며 육상태양광발전의 단점으로 꼽히는 환경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한수원은 설명한다.
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은 “청송양수 수상 태양광발전소는 양수발전시설에 태양광발전을 겸해 친환경, 청정에너지를 안전하게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이며 “친환경과 안전이 핵심 키워드인 에너지전환시대에 청송양수 수상 태양광발전소가 그 모범사례가 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