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올해 갤럭시노트를 출시하지 않는 대신 접는(폴더블) 스마트폰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규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9일 “글로벌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은 2021년 870만 대 수준을 보이며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을 가능성이 높다”며 “삼성전자는 폴더블 스마트폰 경쟁제품인 갤럭시노트 시리즈를 출시하지 않을 공산이 크다”고 밝혔다.
지난해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은 300만 대가량으로 당초 예상치보다 적었다. 코로나19에 따른 수요 둔화와 비싼 가격대의 영향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올해는 제품 가격대가 전반적으로 낮아지면서 폴더블 스마트폰 접근성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 연구원은 100만 원 초반대의 폴더블 스마트폰이 나올 수 있다고 봤다.
폴더블 스마트폰시장은 2022년에는 1400만 대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다.
삼성전자뿐 아니라 다른 모바일기업들도 폴더블 스마트폰 출시를 준비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연구원은 “샤오미, 오포, 구글 등이 2021년 하반기 폴더블 스마트폰을 출시할 것으로 예정됐다”며 “애플은 2023년 출시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
이규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9일 “글로벌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은 2021년 870만 대 수준을 보이며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을 가능성이 높다”며 “삼성전자는 폴더블 스마트폰 경쟁제품인 갤럭시노트 시리즈를 출시하지 않을 공산이 크다”고 밝혔다.

▲ 삼성전자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Z폴드2(왼쪽)와 갤럭시Z플립 5G.
지난해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은 300만 대가량으로 당초 예상치보다 적었다. 코로나19에 따른 수요 둔화와 비싼 가격대의 영향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올해는 제품 가격대가 전반적으로 낮아지면서 폴더블 스마트폰 접근성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 연구원은 100만 원 초반대의 폴더블 스마트폰이 나올 수 있다고 봤다.
폴더블 스마트폰시장은 2022년에는 1400만 대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다.
삼성전자뿐 아니라 다른 모바일기업들도 폴더블 스마트폰 출시를 준비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연구원은 “샤오미, 오포, 구글 등이 2021년 하반기 폴더블 스마트폰을 출시할 것으로 예정됐다”며 “애플은 2023년 출시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