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지도에서 음식점 등을 소개하는 ‘스마트플레이스’의 별점 리뷰를 없애기로 했다.
대신 방문객 리뷰에서 주요 내용을 해시태그(#)로 뽑아 구름 형태로 소개하는 ‘태그 구름’을 도입한다.
네이버는 오프라인 중소사업자(SME) 대상의 리뷰체계를 올해 3분기까지 점진적으로 개편하겠다고 17일 밝혔다.
악의적 평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별점 시스템을 ‘태그 구름’으로 대체하기로 했다. 태그 구름은 방문객 리뷰를 바탕으로 제공되는 여러 해시태그(#)가 구름처럼 나타나는 방식이다.
네이버는 인공지능(AI)기술을 활용해 방문객 리뷰에서 업체의 개성을 소개하는 키워드를 추출한 뒤 해시태그(#)로 만들어 태그 구름을 구성하기로 했다.
방문객 리뷰 환경도 리뷰를 한 사람에 중점을 두는 ‘취향 공유의 공간’으로 바꾸기로 했다. 기존의 짧은 코멘트 방식은 참고하기 어렵고 이유 없는 악평이 달리기도 쉽다는 것이다.
스마트플레이스 이용자는 취향이 비슷한 리뷰어의 리뷰를 먼저 확인할 수 있다. 리뷰어를 구독해 같은 사람의 리뷰를 모아서 볼 수도 있다. 특정 리뷰어의 프로필을 확인해 그가 공개한 ‘맛집 리스트’ 등을 살펴볼 수도 있다.
네이버는 앞으로 상점을 방문한 고객이 불만을 공개적 리뷰로 남기지 않고 사업자에게 알릴 수 있는 ‘사장님에게만 전할 이야기(가칭)’ 기능도 도입하기로 했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이사는 “온라인에서 생기는 오프라인 중소사업자의 고충 상당수는 별점시스템과 간편 코멘트 중심의 리뷰 환경에서 나온다”며 “사업자와 사용자가 모두 만족할 수 있도록 리뷰 방식을 실험하면서 중소사업자의 디지털 전환 첫 단추를 꿰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
대신 방문객 리뷰에서 주요 내용을 해시태그(#)로 뽑아 구름 형태로 소개하는 ‘태그 구름’을 도입한다.

▲ 네이버가 도입하는 '태그 구름'. <네이버>
네이버는 오프라인 중소사업자(SME) 대상의 리뷰체계를 올해 3분기까지 점진적으로 개편하겠다고 17일 밝혔다.
악의적 평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별점 시스템을 ‘태그 구름’으로 대체하기로 했다. 태그 구름은 방문객 리뷰를 바탕으로 제공되는 여러 해시태그(#)가 구름처럼 나타나는 방식이다.
네이버는 인공지능(AI)기술을 활용해 방문객 리뷰에서 업체의 개성을 소개하는 키워드를 추출한 뒤 해시태그(#)로 만들어 태그 구름을 구성하기로 했다.
방문객 리뷰 환경도 리뷰를 한 사람에 중점을 두는 ‘취향 공유의 공간’으로 바꾸기로 했다. 기존의 짧은 코멘트 방식은 참고하기 어렵고 이유 없는 악평이 달리기도 쉽다는 것이다.
스마트플레이스 이용자는 취향이 비슷한 리뷰어의 리뷰를 먼저 확인할 수 있다. 리뷰어를 구독해 같은 사람의 리뷰를 모아서 볼 수도 있다. 특정 리뷰어의 프로필을 확인해 그가 공개한 ‘맛집 리스트’ 등을 살펴볼 수도 있다.
네이버는 앞으로 상점을 방문한 고객이 불만을 공개적 리뷰로 남기지 않고 사업자에게 알릴 수 있는 ‘사장님에게만 전할 이야기(가칭)’ 기능도 도입하기로 했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이사는 “온라인에서 생기는 오프라인 중소사업자의 고충 상당수는 별점시스템과 간편 코멘트 중심의 리뷰 환경에서 나온다”며 “사업자와 사용자가 모두 만족할 수 있도록 리뷰 방식을 실험하면서 중소사업자의 디지털 전환 첫 단추를 꿰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