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자동차산업협회가 미국과 유럽의 자동차협회와 화상회의를 열고 자동차산업과 관련한 현안을 논의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9월28일 미국자동차정책협의회(AAPC)에 이어 6일 유럽자동차협회(ACEA)와 각각 화상으로 회의를 열었다고 7일 밝혔다.
각 회의에서는 코로나19 이후 자동차산업 동향을 포함해 환경규제 등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고 자동차산업협회는 설명했다.
미국자동차정책협의회와 화상회의에는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과 매트 블런트 미국자동차정책협의회 회장 등이 참석했다.
미국자동차정책협의회에 따르면 미국에서 한국 자동차에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파악됐다.
매트 브런트 미국자동차정책협의회 회장은 당시 회의에서 “한국에 대한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관세 부과 가능성은 거의 없을 전망”이라며 “특히 올해 대선에서 민주당 바이든 부통령이 당선되면 관세 부과 가능성 자체가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해도 미국의 현 행정부가 무역확장법 232조를 유럽연합(EU) 등의 시장개방을 위해 전략적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에 대한 관세 부과 조치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덧붙였다.
유럽과 회의에서는 각 국가의 환경규제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유럽자동차협회와 회의에는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과 에릭 마크 후이테마 유럽자동차협회 사무총장 등이 참석했다.
폴 그리닝 박사는 “유럽의 2030년 규제 목표는 정치적 목표로 현실적으로 달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협회와 유럽 자동차업계는 2020년의 기준달성 동향을 보고 차기 2030년 규제 대응 전략을 세우겠다"고 말했다.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도 한국 정부 규제와 관련해 “환경부가 내놓은 행정예고안의 온실가스 규제 수준은 정부의 전기수소차 보급목표를 달성해야 만족할 수 있는 수준으로 현실적으로 달성하기 어렵다”며 “다음 한국 정부의 연비온실가스 규제도 자동차업계가 노력하면 달성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설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은파 기자]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9월28일 미국자동차정책협의회(AAPC)에 이어 6일 유럽자동차협회(ACEA)와 각각 화상으로 회의를 열었다고 7일 밝혔다.

▲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
각 회의에서는 코로나19 이후 자동차산업 동향을 포함해 환경규제 등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고 자동차산업협회는 설명했다.
미국자동차정책협의회와 화상회의에는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과 매트 블런트 미국자동차정책협의회 회장 등이 참석했다.
미국자동차정책협의회에 따르면 미국에서 한국 자동차에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파악됐다.
매트 브런트 미국자동차정책협의회 회장은 당시 회의에서 “한국에 대한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관세 부과 가능성은 거의 없을 전망”이라며 “특히 올해 대선에서 민주당 바이든 부통령이 당선되면 관세 부과 가능성 자체가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해도 미국의 현 행정부가 무역확장법 232조를 유럽연합(EU) 등의 시장개방을 위해 전략적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에 대한 관세 부과 조치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덧붙였다.
유럽과 회의에서는 각 국가의 환경규제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유럽자동차협회와 회의에는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과 에릭 마크 후이테마 유럽자동차협회 사무총장 등이 참석했다.
폴 그리닝 박사는 “유럽의 2030년 규제 목표는 정치적 목표로 현실적으로 달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협회와 유럽 자동차업계는 2020년의 기준달성 동향을 보고 차기 2030년 규제 대응 전략을 세우겠다"고 말했다.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도 한국 정부 규제와 관련해 “환경부가 내놓은 행정예고안의 온실가스 규제 수준은 정부의 전기수소차 보급목표를 달성해야 만족할 수 있는 수준으로 현실적으로 달성하기 어렵다”며 “다음 한국 정부의 연비온실가스 규제도 자동차업계가 노력하면 달성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설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