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가 코로나19에 따른 경제·금융위기 대응을 전담하는 조직을 마련했다.
금융위원회는 4일 비상금융지원반을 확대개편해 금융안정지원단을 설치했다.
금융위원회는 4월부터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제·금융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긴급대응반 제도를 활용해 비상금융지원반을 한시적으로 운영해왔다.
금융안정지원단은 정책총괄과, 금융지원과 등의 인력 12명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175조 원+α(알파) 규모의 민생금융안정패키지 등 비상금융조치의 이행·점검을 담당한다.
지원 프로그램별 집행 상황과 수정·보완사항을 살피는 동시에 현장점검반을 구성해 현장의 어려움을 해소한다.
대규모 기간산업 지원을 위해 편성된 40조 원 규모의 기간산업안정기금 운영도 지원하게 된다.
경제·금융상황 변동에 대비한 금융정책 수립, 금융시장 위험요인 분석, 관련 정책의 수립 및 관리·감독 업무, 금융권의 코로나19 대응 현황 점검 등의 업무도 맡는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
금융위원회는 4일 비상금융지원반을 확대개편해 금융안정지원단을 설치했다.

▲ 금융위원회 로고.
금융위원회는 4월부터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제·금융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긴급대응반 제도를 활용해 비상금융지원반을 한시적으로 운영해왔다.
금융안정지원단은 정책총괄과, 금융지원과 등의 인력 12명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175조 원+α(알파) 규모의 민생금융안정패키지 등 비상금융조치의 이행·점검을 담당한다.
지원 프로그램별 집행 상황과 수정·보완사항을 살피는 동시에 현장점검반을 구성해 현장의 어려움을 해소한다.
대규모 기간산업 지원을 위해 편성된 40조 원 규모의 기간산업안정기금 운영도 지원하게 된다.
경제·금융상황 변동에 대비한 금융정책 수립, 금융시장 위험요인 분석, 관련 정책의 수립 및 관리·감독 업무, 금융권의 코로나19 대응 현황 점검 등의 업무도 맡는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