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리테일이 편의점과 슈퍼마켓, 온라인몰 등 각 사업부의 고른 성장에 힘입어 1분기에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거뒀다.
GS리테일은 1분기에 매출 2조1419억 원, 영업이익 888억 원을 냈다고 27일 밝혔다. 지난해 1분기보다 매출은 2.8%, 영업이익은 314.7% 늘었다.
GS리테일은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주력 사업인 GS25 뿐만 아니라 GS더프레시, GS프레시 등 사업영역이 점차 증가하는 1~2인 가족의 라이프 스타일에 부합하는 근거리 소매 플랫폼으로 자리 잡으며 위기에도 흔들리지 않는 견고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갖췄다”고 봤다.
사업별로 살펴보면 편의점 GS25는 1분기에 영업이익 406억 원을 냈다. 1년 전보다 51.3% 증가했다.
슈퍼마켓 GS더프레시는 1분기에 영업이익 164억 원을 거둬 적자(48억 손실)에서 흑자로 돌아섰다.
고효율·저비용의 체인오퍼레이션 시스템을 도입하고 상품 전략도 대용량 위주에서 소포장 중심으로 바꾼 효과를 거뒀다고 GS리테일은 설명했다.
체인오퍼레이션 시스템은 주문, 가격, 재고관리 등은 본부에서 도맡아 처리해 매장 직원들은 판매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온라인몰 GS프레시는 1분기 매출이 1년 전보다 98.7% 불어난 397억 원을 냈다. 이용고객 수는 지난해 1분기보다 90.8% 급증했다.
지난해 11월부터 운영된 강서자동화물류센터가 디지털피킹시스템(DPS)을 통해 상품의 모든 처리 과정 및 피킹 작업의 시간당 처리 건수가 2배 이상 늘어나며 운영 효율성이 크게 개선됐다.
GS리테일 개발사업부문은 자문을 맡았던 광교몰 매각 프로젝트를 마쳤으며 앞으로 물류 허브 개발 등으로 새 사업영역을 넓혀가겠다는 계획을 세워뒀다.
자회사인 파르나스호텔은 1분기 매출이 453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2.9% 줄었다.
개관 30주년을 맞아 1월부터 그랜드인터컨티넬탈호텔의 재단장 작업을 진행하면서 객실 영업을 중단했기 때문이다.
GS리테일 관계자는 “GS리테일은 위기에 강한 사업 포트폴리오 마련과 꾸준한 체질강화를 통해 외부 환경에 큰 흔들림이 없는 안정적 수익 체계를 확보했다”며 “GS리테일의 1만5천여 유통 플랫폼은 국가적 경제위기를 조기에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 소비 창출과 지역사회 공헌에 큰 보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
GS리테일은 1분기에 매출 2조1419억 원, 영업이익 888억 원을 냈다고 27일 밝혔다. 지난해 1분기보다 매출은 2.8%, 영업이익은 314.7% 늘었다.

▲ 허연수 GS리테일 대표이사 부회장.
GS리테일은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주력 사업인 GS25 뿐만 아니라 GS더프레시, GS프레시 등 사업영역이 점차 증가하는 1~2인 가족의 라이프 스타일에 부합하는 근거리 소매 플랫폼으로 자리 잡으며 위기에도 흔들리지 않는 견고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갖췄다”고 봤다.
사업별로 살펴보면 편의점 GS25는 1분기에 영업이익 406억 원을 냈다. 1년 전보다 51.3% 증가했다.
슈퍼마켓 GS더프레시는 1분기에 영업이익 164억 원을 거둬 적자(48억 손실)에서 흑자로 돌아섰다.
고효율·저비용의 체인오퍼레이션 시스템을 도입하고 상품 전략도 대용량 위주에서 소포장 중심으로 바꾼 효과를 거뒀다고 GS리테일은 설명했다.
체인오퍼레이션 시스템은 주문, 가격, 재고관리 등은 본부에서 도맡아 처리해 매장 직원들은 판매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온라인몰 GS프레시는 1분기 매출이 1년 전보다 98.7% 불어난 397억 원을 냈다. 이용고객 수는 지난해 1분기보다 90.8% 급증했다.
지난해 11월부터 운영된 강서자동화물류센터가 디지털피킹시스템(DPS)을 통해 상품의 모든 처리 과정 및 피킹 작업의 시간당 처리 건수가 2배 이상 늘어나며 운영 효율성이 크게 개선됐다.
GS리테일 개발사업부문은 자문을 맡았던 광교몰 매각 프로젝트를 마쳤으며 앞으로 물류 허브 개발 등으로 새 사업영역을 넓혀가겠다는 계획을 세워뒀다.
자회사인 파르나스호텔은 1분기 매출이 453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2.9% 줄었다.
개관 30주년을 맞아 1월부터 그랜드인터컨티넬탈호텔의 재단장 작업을 진행하면서 객실 영업을 중단했기 때문이다.
GS리테일 관계자는 “GS리테일은 위기에 강한 사업 포트폴리오 마련과 꾸준한 체질강화를 통해 외부 환경에 큰 흔들림이 없는 안정적 수익 체계를 확보했다”며 “GS리테일의 1만5천여 유통 플랫폼은 국가적 경제위기를 조기에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 소비 창출과 지역사회 공헌에 큰 보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