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박.’ 국어사전에는 ‘흥행이 크게 성공하다’ ‘큰 돈을 벌다’는 뜻으로 풀이한다.
유래는 알 수 없다고 한다. 큰 배라는 ‘대박(大舶)‘에서 나왔다는 설명이 있다. 예전에 밀항선이나 화물선 같은 큰 배가 온갖 물건을 싣고 항구에 들어오면 그 물건을 팔아 큰 돈을 벌 수 있는 데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 노름 용어 ‘박’에서 나왔다는 설도 있다. 박은 노름에서 여러 번 패를 잡고 물주 노릇을 하거나 그렇게 해서 얻는 몫을 말하는데 여기에 대(大)가 붙어 ‘횡재’라는 의미가 되었다는 설명이다.
흥부가 박을 터트려 부자가 된 장면에서 나왔다는 얘기도 있다. 영어에서는 hit the jackpot이라고 표현한다. 말 그대로 카지노 같은 곳에서 횡재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말로 번역하면 ‘돈벼락을 맞다’ 정도다.
대박이라는 말은 ‘비속어’ 취급을 받아왔다. 점잖은 사람들은 쓰지 않는 표현이었다. 그 말이 방송 오락물에서 쓰이고, 급기야 자막으로 자주 등장하면서 누구나 거리낌없이 사용하게 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은 여전히 대박이라는 말에서 ‘한탕주의’가 연상돼 개운치 않다고 말한다.
![]() |
||
| ▲ 박근혜 대통령이 6일 신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
박 대통령은 통일의 중요성을 명쾌하게 전달하고 싶어 그 말을 골랐을 것이다. 통일이 횡재라니 반드시 해야겠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또 그동안 공격을 받아온 불통 이미지를 벗기 위해 대박이라는 ‘친근한’ 말을 의도적으로 썼을 수도 있다.
그런데 요즘 젊은이 사이에서는 이 말의 쓰임새가 약간 달라졌다고 한다. 상황에 따라 부정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황당한 일이나 몰랐던 일 등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표현으로 대박이라는 말을 쓰기도 한다. ‘헐~ 대박’ 같은 말이 대표적이다. 그래서 “통일이 대박이라고, 헐~ 대박!”이라고 비아냥거리기도 한다.
대통령 말의 품위를 놓고 이런저런 얘기를 하기에 앞서 ‘대박’이라는 말이 지닌 이런 이중성을 참모들이 좀더 신중히 살폈으면 하는 아쉬움이 든다. 파격도 두루 살필 때 빛이 난다. 혹시라도 대박이라는 말이 젊은이들 사이에 ‘황당함’ 등으로 사용되는 사실을 몰랐다고 한다면, 이 말을 굳이 골라 쓴 것은 ‘절반의 실패’일 수도 있다. 혹 대통령 주변에 너무 늙은 참모들만 포진해 있어 그런 것을 아닐까? 그동안 박 대통령의 소통은 너무나 한정된 사람들과의 소통이 전부는 아니었을까?
신년 기자회견 뒤 이준석 전 새누리당 비대위원은 “박 대통령이 SNS에 직접 댓글을 달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절반의 대통령’이 아니라 이념과 세대와 계층을 넘어서 ‘모두의 대통령’이 되기 위해 소통하라는 의미의 주문일 것이다. 박 대통령도 당선이 확정되었을 때 “전 국민의 대통령이 되겠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