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롯데그룹 계열사에서 옴니채널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롯데마트는 국내 패스트푸드점에서 찾아볼 수 있었던 '드라이브 스루' 매장을 대형마트에 최초로 도입했다.
![]() |
||
▲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
국내 대형마트 가운데 드라이브스루 매장을 연 것은 롯데마트가 처음이다.
롯데마트가 내놓은 '드라이브 앤 픽 서비스'는 모바일앱이나 PC로 상품을 주문한 뒤 픽업가능한 날짜와 시간을 선택하고 매장 밖에 있는 ‘드라이브 앤 픽 데스크’를 방문해 상품을 받아가는 옴니채널 서비스다.
옴니채널은 온오프라인이나 모바일 등 다양한 유통경로를 통해 상품을 검색하고 구매하는 형태를 뜻한다.
신동빈 회장은 평소 임직원들에게 옴니채널 유통방식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해왔다.
신 회장은 8월31일에 열린 ‘2015 롯데마케팅포럼’에 직접 참석해 옴니채널 유통방식을 소비를 소개하고 시연하기도 했다.
고객이 롯데마트의 드라이브 앤 픽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상품을 받을 때 자동차에서 내리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고객이 기존에 대형마트에서 물건을 구매할 때 ‘주차-쇼핑-계산-포장-출차’까지 보통 1시간 정도 걸렸지만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쇼핑시간이 15분으로 줄어든다고 롯데마트는 설명했다.
이 서비스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맞벌이 부부’와 ‘1인가구’에게 유용한 서비스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으로 배우자가 있는 1182만5000가구 가운데 맞벌이 부부는43.8%를 차지했다. 또 1990년 전체 가구 가운데 9%에 불과했던 1인가구 비중은 지난해 26%까지 높아졌다.
![]() |
||
▲ 롯데마트 중계점에 문을 연 '드라이브스루' 매장. |
프랑스의 대형마트 오샹(Auchan)은 2000년6월 세계 최초로 ‘오샹드라이브’를 선보인 뒤로 적용매장수가 2천여 개까지 늘렸다. 이어 영국 테스코(TESCO)가 2010년에, 미국 월마트가 지난해 9월 이 드라이브 스루 서비스를 시작했다.
롯데마트는 중계점에 7월30일부터 드라이브 앤 픽 서비스를 시범 운영해왔다. 롯데마트는 올해 안에 1∼2개 점포에 추가로 이 서비스를 확대하기로 했다.
송승선 롯데마트 모바일사업부문장은 “변화하는 유통환경에 맞춰 고객의 요구에 부합하는 차별화된 배송 서비스를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계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