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모두 크게 떨어졌다.
미국에서 해외를 나간 적이 없는 코로나19 의심환자가 다수 발생하며 지역사회 감염병 확산 우려가 커졌고 미국 경기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떠올랐다.
27일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190.95포인트(4.42%) 하락한 2만5776.64에 거래를 마쳤다.
2011년 이후 일간 최대 낙폭을 보인 것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날보다 137.63(4.42%) 떨어진 2978.7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414.29포인트(4.61%) 낮아진 8566.48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조연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근원을 알 수 없는 코로나19 감염자가 발생하고 해외를 나간 적이 없는 의심환자도 발생하며 증시에 악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미국에서 코로나19 지역사회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조 연구원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소비 둔화가 미국 경기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며 공포심리가 확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애플, 마이크론 등 주요 IT기업이 1분기에 시장 예상치를 밑도는 실적을 볼 수 있다고 밝힌 점도 증시에 악영향을 미쳤다.
조 연구원은 "미국 코로나19 지역사회 확산이 더 퍼진다면 주식시장에 공포심리는 더 크게 반영될 수 있다"며 "미국 내 코로나19 감염 증가 여부에 따른 변동성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골드만삭스는 최근 코로나19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혼란이 미국 기업 전반의 실적에 타격을 줄 것이라며 올해 실적 전망치를 기존 6% 이익 증가에서 0%로 하향 조정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
미국에서 해외를 나간 적이 없는 코로나19 의심환자가 다수 발생하며 지역사회 감염병 확산 우려가 커졌고 미국 경기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떠올랐다.

▲ 18일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190.95포인트(4.42%) 하락한 2만5776.64에 거래를 마쳤다.
27일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190.95포인트(4.42%) 하락한 2만5776.64에 거래를 마쳤다.
2011년 이후 일간 최대 낙폭을 보인 것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날보다 137.63(4.42%) 떨어진 2978.7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414.29포인트(4.61%) 낮아진 8566.48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조연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근원을 알 수 없는 코로나19 감염자가 발생하고 해외를 나간 적이 없는 의심환자도 발생하며 증시에 악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미국에서 코로나19 지역사회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조 연구원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소비 둔화가 미국 경기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며 공포심리가 확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애플, 마이크론 등 주요 IT기업이 1분기에 시장 예상치를 밑도는 실적을 볼 수 있다고 밝힌 점도 증시에 악영향을 미쳤다.
조 연구원은 "미국 코로나19 지역사회 확산이 더 퍼진다면 주식시장에 공포심리는 더 크게 반영될 수 있다"며 "미국 내 코로나19 감염 증가 여부에 따른 변동성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골드만삭스는 최근 코로나19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혼란이 미국 기업 전반의 실적에 타격을 줄 것이라며 올해 실적 전망치를 기존 6% 이익 증가에서 0%로 하향 조정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