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이 27주째 오름세를 이어갔다.
그러나 정부의 12·16 부동산 안정화방안의 영향으로 2주 연속 상승폭이 둔화됐다.
한국감정원이 2일 발표한 ‘2019년 12월5주(2019년 12월30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08% 상승하며 상승폭이 0.02%포인트 축소됐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2018년 11월1주 이후 내림세를 지속하다 2019년 7월1주 34주 만에 상승으로 돌아선 뒤 27주째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감정원은 “2019년 12월5주 서울 주택시장은 정부의 12·16 부동산 대책 등 강력한 규제로 2주 연속 상승폭이 둔화되고 있다”며 “단지 또는 지역 상황에 따라 차별적 장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고가 아파트 중심으로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 강북 14개구는 전주보다 아파트값이 0.07% 오르며 상승폭을 유지했다.
마포구,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등 고가 아파트가 소재해 집값 상승을 주도하던 지역은 대체로 상승폭이 줄었으나 강북구와 동대문구 등 지역에서 실수요 위주의 구축 단지 인기로 전체 상승폭을 유지했다.
마포구는 아파트값 상승폭이 지난주 0.11%에서 이번주 0.1%로 축소됐다. 용산구는 0.09%에서 0.08%로, 광진구는 0.08%에서0.07%로 아파트값 상승폭이 1주 전보다 각각 둔화됐다.
강북구와 동대문구는 아파트값이 1주 전보다 각각 0.09%, 0.07%씩 올랐다.
서울 강남 11개구는 전주보다 아파트값이 0.1% 상승하며 상승폭이 0.03%포인트 떨어졌다.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강동구 등 강남4구는 아파트값이 0.07% 오르며 1주 전보다 상승폭이 0.03%포인트 작아졌다.
대치동 은마아파트, 잠실주공5단지 등 일부 재건축 예정 단지들은 대출규제 및 추가하락 우려 등으로 급매물 출현에도 거래가 순조롭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강남구는 아파트값 상승폭이 지난주 0.11%에서 이번주 0.09%로 줄었다. 송파구는 0.15%에서 0.07%로, 강동구는 0.07%에서 0.06%로, 서초구는 0.06%에서 0.04%로 아파트값 상승폭이 1주 전보다 각각 축소됐다.
2019년 12월5주 전국 아파트값은 1주 전보다 0.09% 오르며 상승폭이 0.01%포인트 감소했다. 전국 아파트값은 2019년 9월4주 47주 만에 상승세로 돌아선 뒤 15주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수도권은 0.13%, 지방은 0.05% 상승했다.
시도별로 아파트 매매가격을 살펴보면 세종(0.99%), 경기(0.17%), 대구(0.14%), 대전(0.14%), 울산(0.1%) 등은 상승했고 강원(-0.14%), 경북(-0.03%), 제주(-0.03%), 전북(-0.02%), 경남(-0.01%) 등은 하락했다. [비즈니스포스트 홍지수 기자]
그러나 정부의 12·16 부동산 안정화방안의 영향으로 2주 연속 상승폭이 둔화됐다.

▲ 서울 일대의 아파트 모습.
한국감정원이 2일 발표한 ‘2019년 12월5주(2019년 12월30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08% 상승하며 상승폭이 0.02%포인트 축소됐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2018년 11월1주 이후 내림세를 지속하다 2019년 7월1주 34주 만에 상승으로 돌아선 뒤 27주째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감정원은 “2019년 12월5주 서울 주택시장은 정부의 12·16 부동산 대책 등 강력한 규제로 2주 연속 상승폭이 둔화되고 있다”며 “단지 또는 지역 상황에 따라 차별적 장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고가 아파트 중심으로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 강북 14개구는 전주보다 아파트값이 0.07% 오르며 상승폭을 유지했다.
마포구, 용산구, 성동구, 광진구 등 고가 아파트가 소재해 집값 상승을 주도하던 지역은 대체로 상승폭이 줄었으나 강북구와 동대문구 등 지역에서 실수요 위주의 구축 단지 인기로 전체 상승폭을 유지했다.
마포구는 아파트값 상승폭이 지난주 0.11%에서 이번주 0.1%로 축소됐다. 용산구는 0.09%에서 0.08%로, 광진구는 0.08%에서0.07%로 아파트값 상승폭이 1주 전보다 각각 둔화됐다.
강북구와 동대문구는 아파트값이 1주 전보다 각각 0.09%, 0.07%씩 올랐다.
서울 강남 11개구는 전주보다 아파트값이 0.1% 상승하며 상승폭이 0.03%포인트 떨어졌다.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강동구 등 강남4구는 아파트값이 0.07% 오르며 1주 전보다 상승폭이 0.03%포인트 작아졌다.
대치동 은마아파트, 잠실주공5단지 등 일부 재건축 예정 단지들은 대출규제 및 추가하락 우려 등으로 급매물 출현에도 거래가 순조롭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강남구는 아파트값 상승폭이 지난주 0.11%에서 이번주 0.09%로 줄었다. 송파구는 0.15%에서 0.07%로, 강동구는 0.07%에서 0.06%로, 서초구는 0.06%에서 0.04%로 아파트값 상승폭이 1주 전보다 각각 축소됐다.
2019년 12월5주 전국 아파트값은 1주 전보다 0.09% 오르며 상승폭이 0.01%포인트 감소했다. 전국 아파트값은 2019년 9월4주 47주 만에 상승세로 돌아선 뒤 15주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수도권은 0.13%, 지방은 0.05% 상승했다.
시도별로 아파트 매매가격을 살펴보면 세종(0.99%), 경기(0.17%), 대구(0.14%), 대전(0.14%), 울산(0.1%) 등은 상승했고 강원(-0.14%), 경북(-0.03%), 제주(-0.03%), 전북(-0.02%), 경남(-0.01%) 등은 하락했다. [비즈니스포스트 홍지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