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이 수조 원대 적자를 보면서 인력감축을 추진할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 진화에 나섰다.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은 그동안 인력 구조조정을 추진하지 않겠다고 밝혔지만 적자규모가 3조 원대에 육박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면서 채권단 등 외부로부터 강력한 구조조정을 요구받고 있다.
![]() |
||
▲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 |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인력감원 추진은 사실과 다르다”며 “정 사장은 임원들과 인력감원에 대해서 전혀 논의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정 사장은 20일 담화문을 통해 대우조선해양의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질적 구조조정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대우조선해양 안팎에서 지난 18~19일 정 사장이 참석한 임원 워크숍에서 대우조선해양의 중간간부를 감원하는 방안을 논의했다는 말이 돌고 있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경영진은 워크숍에서 감원 등에 대해서 어떤 논의도 하지 않았다”고 부인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올해 2분기 2조~3조 원에 이르는 영업손실을 낼 것으로 전망되면서 대주주 산업은행을 비롯해 수출입은행 등 채권단으로부터 강력한 구조조정을 요구받고 있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정확한 실사 결과가 나와야 구체적 대책을 세울 수 있다”며 “보통 실사는 두세 달 걸리지만 대우조선해양의 경우 한 달 정도에 실사를 마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대우조선해양에 1만3천여 명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이 가운데 차장과 부장급 등 중간관리직이 전체의 3분의 1에 이른다. 대우조선해양은 직원 평균근속연수가 17.5년에 이를 정도로 장기근속자가 많다.
이 때문에 대우조선해양도 현대중공업처럼 중간관리자들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해 고정비를 줄여야 한다는 요구를 받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과장급 이상 1500명의 직원들을 내보내는 인력감축을 실시했다.
정 사장이 인력감축에 나서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정 사장은 그동안 인력감축이 없다는 입장을 되풀이해 왔다. 정 사장은 6월 기자간담회에서도 인위적 구조조정은 없다고 선언했다.
정 사장은 대우조선해양 사장에 취임하기 전에도 노조를 만나 인력 구조조정을 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대우조선해양 노조 관계자는 “정 사장이 취임 전 사무직 직원들을 포함해 어떠한 인력 구조조정도 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고 말했다.
대우조선해양의 주인이 없는 상황에서 대우조선해양 노조가 경영에 깊숙하게 영향력을 행사해온 점도 정 사장이 인력감축을 추진하기가 쉽지 않은 원인으로 꼽힌다.
대우조선해양 노조는 2008년 산업은행이 대우조선해양 매각에 나서자 매수의향자로 나선 두산그룹, 한화그룹, GS그룹 , 현대중공업을 상대로 현장실사를 막는 등 목소리를 높여 인수를 무산시켰다.
당시 한화그룹과 두산그룹은 노조의 반대를 돌리기 위해 구조조정을 절대 안하겠다고 선언하기도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승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