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산 목표주가가 낮아졌다.
구리 가격 하락과 전방산업 수요 부진으로 3분기 실적이 부진했다.
박현욱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31일 풍산 목표주가를 2만8천 원에서 2만7천 원으로 낮춰잡고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풍산 주가는 30일 2만300원으로 거래를 끝냈다.
박 연구원은 “풍산의 3분기 영업이익 부진은 자동차 등 전방산업의 수요 부진으로 신동 판매량이 감소하고 구리 가격도 하락했기 때문”이라며 “방산 매출액 역시 현대차증권의 기대치를 밑돈 것으로 추정되며 해외 자회사들 역시 부진한 실적을 냈다”고 파악했다.
박 연구원에 따르면 구리 가격은 2분기 평균 톤당 6100달러에서 3분기 평균 톤당 5800달러로 하락했다.
풍산은 3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5640억 원, 영업이익 2억 원을 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14%, 영업이익은 98% 하락했다. 풍산의 3분기 실적의 시장 기대치는 매출 6350억 원, 영업이익 22억 원이었다.
박 연구원은 4분기에는 풍산 실적이 반등할 것으로 예상했다.
박 연구원은 “풍산의 영업이익은 4분기부터 반등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방산 매출액이 2분기와 3분기를 저점으로 완만하게 회복될 것으로 기대되고 구리 가격이 반등하면서 메탈로스(원재료 매입가보다 판매가가 낮아지는 현상)도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라고 내다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윤휘종 기자]
구리 가격 하락과 전방산업 수요 부진으로 3분기 실적이 부진했다.

▲ 박우동 풍산 대표이사 사장.
박현욱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31일 풍산 목표주가를 2만8천 원에서 2만7천 원으로 낮춰잡고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풍산 주가는 30일 2만300원으로 거래를 끝냈다.
박 연구원은 “풍산의 3분기 영업이익 부진은 자동차 등 전방산업의 수요 부진으로 신동 판매량이 감소하고 구리 가격도 하락했기 때문”이라며 “방산 매출액 역시 현대차증권의 기대치를 밑돈 것으로 추정되며 해외 자회사들 역시 부진한 실적을 냈다”고 파악했다.
박 연구원에 따르면 구리 가격은 2분기 평균 톤당 6100달러에서 3분기 평균 톤당 5800달러로 하락했다.
풍산은 3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5640억 원, 영업이익 2억 원을 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14%, 영업이익은 98% 하락했다. 풍산의 3분기 실적의 시장 기대치는 매출 6350억 원, 영업이익 22억 원이었다.
박 연구원은 4분기에는 풍산 실적이 반등할 것으로 예상했다.
박 연구원은 “풍산의 영업이익은 4분기부터 반등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방산 매출액이 2분기와 3분기를 저점으로 완만하게 회복될 것으로 기대되고 구리 가격이 반등하면서 메탈로스(원재료 매입가보다 판매가가 낮아지는 현상)도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라고 내다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윤휘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