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관광, 가뭄 예측, 상권 분석 등 다양한 공공·민간 빅데이터를 누구나 공유하고 분석 및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에 나섰다.
경기도는 28일 보도자료를 내고 정보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행정을 추진하기 위해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은 2020년 상반기 운영을 시작한다.
유동인구, 매출, 수자원, 기상정보 등의 각종 공공·민간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공무원은 물론, 학생이나 연구원 등 도민들도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분석 환경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뒀다.
경기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공공·민간에 분산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관리할 수 있는 ‘통합저장소’를 마련하기로 했다.
수집된 데이터는 범정부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국가 데이터맵의 기초로 활용된다.
필요한 데이터를 언제든지 검색해 활용할 수 있는 ‘분석포털’도 함께 만든다.
경기도는 분석포털을 통해 경기도 축제·관광지, 가뭄 예측 등 유용한 정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지도나 그래프, 인포그래픽, 대시보드 등 다양한 시각화 콘텐츠로 구성해 제공하기로 했다.
지역화폐의 이용률 분석이나 건설업 페이퍼컴퍼니 단속 여부 등을 빅데이터를 통해 정확히 예측·판정하고, 관광산업 진흥정책이나 농업 가뭄 대응책 수립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데이터 분석을 처음 접하는 사람도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맞춤형 데이터 분석환경’을 만들어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각자의 능력에 맞는 분석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경기도는 연구원이나 학생 등이 필요로 하는 각종 학술용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고 상권분석이나 매출정보, 유동인구 등의 정보들을 제공해 창업 성공과 경제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임문영 경기도 미래성장정책관은 “경기도는 그동안 공공데이터의 보유·분석활용 등에서 선도적 역할을 해왔지만 통합된 시스템이 없었다”며 “과학적 행정기반을 마련해 민선7기가 추구하는 ‘새로운 경기, 공정한 세상’ 실현에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
경기도는 28일 보도자료를 내고 정보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행정을 추진하기 위해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 이재명 경기도지사.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은 2020년 상반기 운영을 시작한다.
유동인구, 매출, 수자원, 기상정보 등의 각종 공공·민간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공무원은 물론, 학생이나 연구원 등 도민들도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분석 환경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뒀다.
경기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공공·민간에 분산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관리할 수 있는 ‘통합저장소’를 마련하기로 했다.
수집된 데이터는 범정부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국가 데이터맵의 기초로 활용된다.
필요한 데이터를 언제든지 검색해 활용할 수 있는 ‘분석포털’도 함께 만든다.
경기도는 분석포털을 통해 경기도 축제·관광지, 가뭄 예측 등 유용한 정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지도나 그래프, 인포그래픽, 대시보드 등 다양한 시각화 콘텐츠로 구성해 제공하기로 했다.
지역화폐의 이용률 분석이나 건설업 페이퍼컴퍼니 단속 여부 등을 빅데이터를 통해 정확히 예측·판정하고, 관광산업 진흥정책이나 농업 가뭄 대응책 수립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데이터 분석을 처음 접하는 사람도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맞춤형 데이터 분석환경’을 만들어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각자의 능력에 맞는 분석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경기도는 연구원이나 학생 등이 필요로 하는 각종 학술용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고 상권분석이나 매출정보, 유동인구 등의 정보들을 제공해 창업 성공과 경제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임문영 경기도 미래성장정책관은 “경기도는 그동안 공공데이터의 보유·분석활용 등에서 선도적 역할을 해왔지만 통합된 시스템이 없었다”며 “과학적 행정기반을 마련해 민선7기가 추구하는 ‘새로운 경기, 공정한 세상’ 실현에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