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일약품이 글로벌을 겨냥한 자체 신약 후보물질(파이프라인)로 기업가치가 부각될 것으로 전망됐다.
임동락 한양증권 연구원은 30일 “제일약품은 연구개발(R&D) 투자를 통해 글로벌을 목표로 한 다수의 신약 후보물질들을 확보했다”며 “아직 초기단계의 신약 후보물질이 많지만 경쟁력만 갖춘다면 대형 제약사(빅파마)의 관심을 충분히 받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제일약품은 국내 1세대 제약기업으로 제네릭(화학의약품 복제약)과 도입상품을 통해 안정적 매출 증가를 유지하고 있다.
글로벌 제약사 화이자의 리피토(고지혈증 치료제)와 리리카(신경병성통증 치료제) 등이 제일약품의 대표적 도입상품이다.
다만 도입상품의 수익구조를 감안할 때 외형 성장에 비해 높은 수익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제일약품은 이런 사업구조를 극복하기 위해 신약 연구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뇌졸중 치료제 JPI-289다.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획득한 뇌졸중 치료제는 액티라제(tPA)가 유일하다. 그러나 뇌출혈 유발 등 부작용도 있어 수요자들을 충분히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JPI-289는 임상2a상 추적조사(코호트)1&2 단계에서 약물 관련 중증 이상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 또 뇌경색 부피 감소와 뇌졸중 환자의 종합적 행동학적 평가지표인 ‘mRS’의 1단계 향상결과를 도출했다.
제일약품은 JPI-289의 임상2a상을 2020년에 마치면 기술수출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형암 치료제 ‘JPI-547’도 국내 임상1a상 결과 기존 항암제 니라파닙보다 효능이 우수한 것이 확인됐다. 앞으로 유방암을 포함해 대장암, 폐암 등으로 적응증을 확대해 임상1b상을 실시한다는 계획을 셍우고 있다.
임 연구원은 “제일약품은 이밖에도 역류성식도염 치료제 JP-1366, 경구용 제1당뇨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JP-2266도 보유하고 있다”며 “제일약품의 투자요인은 기존 사업모델이 아닌 신약 개발”이라고 분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
임동락 한양증권 연구원은 30일 “제일약품은 연구개발(R&D) 투자를 통해 글로벌을 목표로 한 다수의 신약 후보물질들을 확보했다”며 “아직 초기단계의 신약 후보물질이 많지만 경쟁력만 갖춘다면 대형 제약사(빅파마)의 관심을 충분히 받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한승수 제일약품 회장.
제일약품은 국내 1세대 제약기업으로 제네릭(화학의약품 복제약)과 도입상품을 통해 안정적 매출 증가를 유지하고 있다.
글로벌 제약사 화이자의 리피토(고지혈증 치료제)와 리리카(신경병성통증 치료제) 등이 제일약품의 대표적 도입상품이다.
다만 도입상품의 수익구조를 감안할 때 외형 성장에 비해 높은 수익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제일약품은 이런 사업구조를 극복하기 위해 신약 연구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뇌졸중 치료제 JPI-289다.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획득한 뇌졸중 치료제는 액티라제(tPA)가 유일하다. 그러나 뇌출혈 유발 등 부작용도 있어 수요자들을 충분히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JPI-289는 임상2a상 추적조사(코호트)1&2 단계에서 약물 관련 중증 이상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 또 뇌경색 부피 감소와 뇌졸중 환자의 종합적 행동학적 평가지표인 ‘mRS’의 1단계 향상결과를 도출했다.
제일약품은 JPI-289의 임상2a상을 2020년에 마치면 기술수출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형암 치료제 ‘JPI-547’도 국내 임상1a상 결과 기존 항암제 니라파닙보다 효능이 우수한 것이 확인됐다. 앞으로 유방암을 포함해 대장암, 폐암 등으로 적응증을 확대해 임상1b상을 실시한다는 계획을 셍우고 있다.
임 연구원은 “제일약품은 이밖에도 역류성식도염 치료제 JP-1366, 경구용 제1당뇨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JP-2266도 보유하고 있다”며 “제일약품의 투자요인은 기존 사업모델이 아닌 신약 개발”이라고 분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