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국무총리가 댐과 가스관 등의 시설 안전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긴급하게 조치해야 하는 시설은 2020년까지 보수와 보강을 마치기로 했다. 
 
이낙연 "긴급조치 필요한 노후시설물 2020년까지 보수와 보강"

이낙연 국무총리가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모두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총리는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 점검조정회의에서 “긴급하게 조치해야 하는 노후 국가기반시설을 2020년까지 보수·보강해야 한다”며 “다른 노후시설물도 구체적 투자계획을 세워 단계적으로 현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2018년 말 서울 서대문의 KT 통신구에 불이 나고 경기도 고양에서 열수송관이 파열되는 등의 사고가 연이어 터졌다.

이에 대응해 정부는 댐과 교량, 철도 등의 국가기반시설과 가스관·송유관 등의 지하매설물을 점검해 안전대책을 마련해 왔다.

이 총리는 “주요 기반시설이 1970년대 이후 고도성장기에 세워지면서 현재 노후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그런 시설을 한꺼번에 바꿀 수 없는 만큼 적절한 시기에 체계적으로 관리해 기능을 유지하면서 안전도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앞으로 국가기반시설을 세우거나 지하매설물을 설치할 때 시설물의 생애주기를 고려한 안전관리방안을 적용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통신구, 송유관, 가스관 등을 관리하는 민간회사에도 책임의식을 갖춰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 총리는 조만간 폐지되는 장애등급제를 대체하는 새 장애인 지원방안을 시행할 준비도 철저히 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정부는 개별 장애의 특성을 무시한 장애등급제를 폐지해야 한다는 장애인단체 등의 요구를 받아들여 7월1일부터 장애등급제를 폐지한다.

이 총리는 “장애인 지원정책의 틀을 바꾸는 큰 변화를 시행하지만 모든 것을 단번에 바꿀 수는 없다”며 “우선 장애인 활동 지원 등의 시급한 서비스부터 개편하면서 2022년까지 새 장애인 지원방안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지방자치단체와 국민연금공단에도 이번에 바뀌는 새 제도를 장애인과 가족에게 충실하게 설명해야 한다고 봤다. 보험사 등도 관련 보험상품과 약관을 신속하게 정비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