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스위니 에픽게임즈 최고경영자(CEO)가 에픽게임즈스토어의 독점게임 확보를 놓고 부정적 여론과 관련해 장기적으로 개발자들과 게임 플랫폼 생태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태도를 보였다.

15일 에픽게임즈는 서울 삼성동 인터콘티넨탈 파르나스에서 ‘2019 언리얼서밋’을 열었다.
 
에픽게임즈 CEO "게임 플랫폼에 독점게임은 개발자에게 긍정적"

▲ 팀 스위니 에픽게임즈 최고경영자(왼쪽)와 박성철 에픽게임즈 한국지사장이 15일 '언리얼서밋' 기자간담회에 참석했다.


언리얼서밋은 에픽게임즈의 게임엔진인 ‘언리얼엔진’과 관련한 강연회다. 박성철 에픽게임즈 한국지사장이 인사말로 행사를 열었고 팀 스위니 에픽게임즈 최고경영자(CEO)가 기조연설을 했다.

이후 에픽게임즈는 스위니 CEO와 박 지사장이 참석한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스위니 CEO는 독점정책과 관련한 부정적 여론과 관련해 “독점게임은 효과적으로 이용자를 모으는 전략”이라며 “스팀과 오리진, 배틀넷 등 다른 게임 유통 플랫폼들도 모두 독점게임을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에픽게임즈는 지난해 12월 미국 등에서 에픽게임즈스토어를 처음으로 열었다. 한국에서는 규제 등의 이유로 4월 출시했다.

‘월드워Z’ 등 독점게임을 확보하고 2주마다 무료게임을 배포하는 등 이용자를 모으는 데 공격적 행보를 보이고 있다.

스위니 CEO는 “플랫폼기업들이 수수료로 매출의 30%를 차지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며 “장기적으로 다른 플랫폼기업들도 에픽게임즈의 방향성을 따라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게임 플랫폼 스팀은 유통 수수료로 게임매출의 30%를 수령하는 반면 에픽게임즈는 수수료로 12%만 받는다. 

스위니 CEO는 “12%면 플랫폼을 운영하고 수익을 거두기 충분하다”며 “다른 플랫폼들은 창출하는 부가가치와 비교해 너무 많은 수익을 거두고 있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에픽게임즈가 새로운 플랫폼을 출시해 시장 점유율이 0%인 상황에서 시장 점유율이 90%를 넘는 스팀과 경쟁하려면 독점게임을 확보하는 전략은 피할 수 없다는 태도도 보였다.

그러나 소비자의 입장에서 불편함을 놓고는 답변을 내놓지는 않았다.

애초 에픽게임즈스토어의 독점게임 확보 경쟁에 부정적 여론이 형성된 이유는 일부 게임을 특정 플랫폼에서만 구동할 수 있도록 해 게임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어야 하기 때문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재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