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금융권 가계대출이 올해 들어 가장 큰 증가 규모인 5조1천억 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권에서 수도권 아파트 입주 관련 집단대출 수요로 가계대출이 큰 폭으로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13일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한국은행이 발표한 ‘4월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4월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5조1천억 원으로 3월(9천억 원)보다 4조2천억 원이나 늘었다.
이런 증가 규모는 지난해 12월의 6조6천억 원 이후 4개월 만에 최대치다.
은행권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은 4조5천억 원 증가해 3월 증가액보다 1조6천억 원 늘어났다.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액은 올해 1월 1조1천억 원으로 둔화됐다가 2~4월에는 3개월 연속 커졌다.
4월 주택담보대출이 3조6천억 원 늘어나며 가계대출 증가세를 이끌었다. 4월 기준으로는 2016년 4월 이후 최대 수준이다. 4월 말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619조5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올해 초부터 전세자금 수요가 꾸준히 이어졌고 수도권 분양 및 입주와 관련한 집단대출 규모가 확대되면서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이 확대됐다”면서도 “그러나 아직 추세 전환으로 보긴 어렵다”고 말했다.
반면 제2금융권에서는 주택담보대출이 1조4천억 원 감소했다. 제2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은 올해 2월부터 3개월 연속 뒷걸음질했다.
새마을금고를 포함한 상호금융의 주택담보대출이 1조 원 줄어든 영향을 받았다. 상호금융 주택담보대출은 올해 2월부터 3개월 연속 줄었다.
4월 주택담보대출을 포함한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6천억 원 증가했다. 저축은행과 여신전문금융업권에서 가계대출이 늘어났다. 보험업권에서는 1천억 원 줄었고, 상호금융업권은 제자리걸음했다.
전체 금융권에서 일반신용대출·신용한도대출·상업용부동산·담보대출 등을 포함한 기타대출은 2조9천억 원 증가했다. 총부채원리금 상환비율(DSR) 관리지표 도입 등으로 증가 규모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조 원 줄었다.
4월 은행권의 기타대출은 9천억 원 늘어났다. 제2금융권 기타대출도 2조 원 늘었다.
금융위 관계자는 “4월 가계대출 증가 규모가 3월보다 컸던 점은 은행권 집단대출 증가와 계절적 효과 때문”이라며 “가계부채 증가세의 하향 안정화 기조는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
은행권에서 수도권 아파트 입주 관련 집단대출 수요로 가계대출이 큰 폭으로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 13일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한국은행이 발표한 ‘4월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4월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5조1천억 원으로 전월(9천억 원)보다 4조2천억 원이나 늘었다.
13일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한국은행이 발표한 ‘4월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4월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5조1천억 원으로 3월(9천억 원)보다 4조2천억 원이나 늘었다.
이런 증가 규모는 지난해 12월의 6조6천억 원 이후 4개월 만에 최대치다.
은행권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은 4조5천억 원 증가해 3월 증가액보다 1조6천억 원 늘어났다.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액은 올해 1월 1조1천억 원으로 둔화됐다가 2~4월에는 3개월 연속 커졌다.
4월 주택담보대출이 3조6천억 원 늘어나며 가계대출 증가세를 이끌었다. 4월 기준으로는 2016년 4월 이후 최대 수준이다. 4월 말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619조5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올해 초부터 전세자금 수요가 꾸준히 이어졌고 수도권 분양 및 입주와 관련한 집단대출 규모가 확대되면서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이 확대됐다”면서도 “그러나 아직 추세 전환으로 보긴 어렵다”고 말했다.
반면 제2금융권에서는 주택담보대출이 1조4천억 원 감소했다. 제2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은 올해 2월부터 3개월 연속 뒷걸음질했다.
새마을금고를 포함한 상호금융의 주택담보대출이 1조 원 줄어든 영향을 받았다. 상호금융 주택담보대출은 올해 2월부터 3개월 연속 줄었다.
4월 주택담보대출을 포함한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6천억 원 증가했다. 저축은행과 여신전문금융업권에서 가계대출이 늘어났다. 보험업권에서는 1천억 원 줄었고, 상호금융업권은 제자리걸음했다.
전체 금융권에서 일반신용대출·신용한도대출·상업용부동산·담보대출 등을 포함한 기타대출은 2조9천억 원 증가했다. 총부채원리금 상환비율(DSR) 관리지표 도입 등으로 증가 규모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조 원 줄었다.
4월 은행권의 기타대출은 9천억 원 늘어났다. 제2금융권 기타대출도 2조 원 늘었다.
금융위 관계자는 “4월 가계대출 증가 규모가 3월보다 컸던 점은 은행권 집단대출 증가와 계절적 효과 때문”이라며 “가계부채 증가세의 하향 안정화 기조는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