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남성 직원이 여성 직원의 2.4배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구인구직 사이트 사람인은 2018년 한국 공기업, 준정부기관 등 정규직을 기준으로 전체 공공기관의 남녀 직원 성비가 평균 7대 3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9일 밝혔다.
사람인은 공공기관 공시시스템 알리오에 공시된 361개 공공기관(공기업 36개, 준정부기관 93개, 부설기관 23개, 기타공공기관 209개)의 2018년 자료를 분석했다.
2018년 기준으로 전체 공공기관의 정규직 상시종업원 수는 30만5593명으로 2017년 29만1575명보다 4.8% 늘어났다.
직원 성별구성을 살펴보면 남성이 21만4612명으로 여성 9만982명의 2.4배가량에 이르렀다.
전체 361개 공공기관 가운데 남성이 여성보다 많은 곳은 298곳으로 82.5%를 차지했다.
2018년 고용 증가율은 남성이 2017년보다 3.3%(6883명) 증가하고 여성은 9.7%(8044명) 많아졌다. 여성의 증가율이 남성보다 6.4%포인트 더 높았다.
직원 수가 2천 명 이상인 대규모 기관 가운데 남녀 직원 비율 차이가 가장 적은 곳은 국민연금공단이었다. 남녀비율이 53:47로 6%포인트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는 국민건강보험공단(9%포인트), 근로복지공단(16%포인트), 중소기업은행 (22%포인트), 대한적십자사 (24%포인트), 한국산업은행 (26%포인트) 순서로 남녀 직원 비율 차이가 벌어졌다.
성별에 따라 연봉도 차이가 났다.
2018년 공공기관의 1인당 평균연봉은 6798만 원이었다.
남성 평균연봉은 이보다 464만 원이 더 많은 7262만 원이었지만 여성은 5734만 원으로 전체 평균연봉보다 1064만 원이 적었다. 남성이 여성보다 1.3배(1528만 원) 더 많은 연봉을 받는 것이다.
남성 평균연봉이 여성보다 높은 기관은 전체 361개 기관의 97.5%를 차지했다. 여성 평균연봉이 남성보다 높거나 같은 곳은 9개였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연 기자]
구인구직 사이트 사람인은 2018년 한국 공기업, 준정부기관 등 정규직을 기준으로 전체 공공기관의 남녀 직원 성비가 평균 7대 3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9일 밝혔다.

▲ 공공기관 공시시스템 알리오 홈페이지. <알리오>
사람인은 공공기관 공시시스템 알리오에 공시된 361개 공공기관(공기업 36개, 준정부기관 93개, 부설기관 23개, 기타공공기관 209개)의 2018년 자료를 분석했다.
2018년 기준으로 전체 공공기관의 정규직 상시종업원 수는 30만5593명으로 2017년 29만1575명보다 4.8% 늘어났다.
직원 성별구성을 살펴보면 남성이 21만4612명으로 여성 9만982명의 2.4배가량에 이르렀다.
전체 361개 공공기관 가운데 남성이 여성보다 많은 곳은 298곳으로 82.5%를 차지했다.
2018년 고용 증가율은 남성이 2017년보다 3.3%(6883명) 증가하고 여성은 9.7%(8044명) 많아졌다. 여성의 증가율이 남성보다 6.4%포인트 더 높았다.
직원 수가 2천 명 이상인 대규모 기관 가운데 남녀 직원 비율 차이가 가장 적은 곳은 국민연금공단이었다. 남녀비율이 53:47로 6%포인트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는 국민건강보험공단(9%포인트), 근로복지공단(16%포인트), 중소기업은행 (22%포인트), 대한적십자사 (24%포인트), 한국산업은행 (26%포인트) 순서로 남녀 직원 비율 차이가 벌어졌다.
성별에 따라 연봉도 차이가 났다.
2018년 공공기관의 1인당 평균연봉은 6798만 원이었다.
남성 평균연봉은 이보다 464만 원이 더 많은 7262만 원이었지만 여성은 5734만 원으로 전체 평균연봉보다 1064만 원이 적었다. 남성이 여성보다 1.3배(1528만 원) 더 많은 연봉을 받는 것이다.
남성 평균연봉이 여성보다 높은 기관은 전체 361개 기관의 97.5%를 차지했다. 여성 평균연봉이 남성보다 높거나 같은 곳은 9개였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