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형 간염이 서울과 경기도를 중심으로 빠르게 퍼지고 있다.
28일 보건당국에 따르면 26일 기준 서울과 경기도에서 올해 들어 A형 간염이 확진된 사람은 각각 570명, 1035명으로 전국 3549명 가운데 45%에 이른다.
A형 간염은 물이나 식품을 매개로 감염되기 때문에 집단 발병 우려가 높은 제1군 감염병이다. 감염되면 고열,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서울과 경기 두 지역의 A형 간염 감염자가 매월 증가하고 있다.
경기도에서 1월 122명, 2월 142명, 3월에는 347명이 각각 A형 간염에 걸렸다.
4월 들어서는 424명이 추가로 확진 판정을 받았다.
서울에서는 1월부터 3월까지 각각 72명, 81명, 199명이 감염됐다. 4월에는 218명이 추가로 발생했다.
이 밖에 1~4월 대전 615명, 충남 306명, 충북 229명, 인천 212명 순으로 집계됐다.
보건당국은 A형 간염 확진자들을 대상으로 한 역학조사를 강화하고 있지만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잠복기가 15∼50일로 다른 감염병보다 훨씬 길기 때문이다.
잠복기가 긴 탓에 감염자들이 이 기간 무엇을 섭취했는지를 파악하는 게 쉽지 않다.
2019년 A형 간염 확진자 연령대는 30대가 37.4%로 가장 많고 40대가 35.2%이다.
다음은 20대 13.4%, 50대 9% 순이다.
보건당국 관계자는 “A형 간염에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예방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
28일 보건당국에 따르면 26일 기준 서울과 경기도에서 올해 들어 A형 간염이 확진된 사람은 각각 570명, 1035명으로 전국 3549명 가운데 45%에 이른다.

▲ A형 간염 백신 주사. <연합뉴스>
A형 간염은 물이나 식품을 매개로 감염되기 때문에 집단 발병 우려가 높은 제1군 감염병이다. 감염되면 고열,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서울과 경기 두 지역의 A형 간염 감염자가 매월 증가하고 있다.
경기도에서 1월 122명, 2월 142명, 3월에는 347명이 각각 A형 간염에 걸렸다.
4월 들어서는 424명이 추가로 확진 판정을 받았다.
서울에서는 1월부터 3월까지 각각 72명, 81명, 199명이 감염됐다. 4월에는 218명이 추가로 발생했다.
이 밖에 1~4월 대전 615명, 충남 306명, 충북 229명, 인천 212명 순으로 집계됐다.
보건당국은 A형 간염 확진자들을 대상으로 한 역학조사를 강화하고 있지만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잠복기가 15∼50일로 다른 감염병보다 훨씬 길기 때문이다.
잠복기가 긴 탓에 감염자들이 이 기간 무엇을 섭취했는지를 파악하는 게 쉽지 않다.
2019년 A형 간염 확진자 연령대는 30대가 37.4%로 가장 많고 40대가 35.2%이다.
다음은 20대 13.4%, 50대 9% 순이다.
보건당국 관계자는 “A형 간염에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예방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