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엔터테인먼트 목표주가가 낮아졌다.
소속 아티스트들의 활동에 공백이 생기면서 1분기 음반 판매량과 일본 관객 동원 수가 2018년 1분기보다 줄어들어 영업이익이 기존 시장 기대치를 밑돈 것으로 추정됐다.
황현준 DB금융투자 연구원은 24일 SM엔터테인먼트 목표주가를 기존 6만 원에서 5만7천 원으로 낮춰 잡았다. 목표주가는 매수(BUY)를 유지했다.
23일 SM엔터테인먼트 주가는 4만1450원에 장을 마쳤다.
황 연구원은 24일 “SM엔터테인먼트는 아티스트 활동에 공백이 생기면서 1분기 음반 판매량이 20만 장, 일본 관객 동원 수가 30만 명으로 2018년 1분기와 비교해 감소했다”며 “SMC&C, 키이스트 등 관련 자회사 실적도 광고 비수기와 콘텐츠 제작비용 증가 등으로 당분간 부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SM엔터테인먼트는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1100억 원, 영업이익 55억 원을 낸 것으로 추정됐다. 2018년 1분기보다 매출은 0.6%, 영업이익은 47.2% 줄어드는 것이다.
다만 2분기부터 SM엔터테인먼트 대표 아티스트들이 컴백하면서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됐다.
보이그룹 NCT127이 북미와 일본에서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고 신인그룹 WayV가 5월 중국에서 정식 데뷔하는 점도 기대요인으로 꼽혔다.
황 연구원은 “사업부 재편에 따라 키이스트는 드라마와 영화를, SMC&C는 광고와 예능을 전담하게 된 것은 중장기적 관점에서 긍정적 요소”라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홍지수 기자]
소속 아티스트들의 활동에 공백이 생기면서 1분기 음반 판매량과 일본 관객 동원 수가 2018년 1분기보다 줄어들어 영업이익이 기존 시장 기대치를 밑돈 것으로 추정됐다.
▲ 이수만 SM엔터테인먼트 회장.
황현준 DB금융투자 연구원은 24일 SM엔터테인먼트 목표주가를 기존 6만 원에서 5만7천 원으로 낮춰 잡았다. 목표주가는 매수(BUY)를 유지했다.
23일 SM엔터테인먼트 주가는 4만1450원에 장을 마쳤다.
황 연구원은 24일 “SM엔터테인먼트는 아티스트 활동에 공백이 생기면서 1분기 음반 판매량이 20만 장, 일본 관객 동원 수가 30만 명으로 2018년 1분기와 비교해 감소했다”며 “SMC&C, 키이스트 등 관련 자회사 실적도 광고 비수기와 콘텐츠 제작비용 증가 등으로 당분간 부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SM엔터테인먼트는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1100억 원, 영업이익 55억 원을 낸 것으로 추정됐다. 2018년 1분기보다 매출은 0.6%, 영업이익은 47.2% 줄어드는 것이다.
다만 2분기부터 SM엔터테인먼트 대표 아티스트들이 컴백하면서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됐다.
보이그룹 NCT127이 북미와 일본에서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고 신인그룹 WayV가 5월 중국에서 정식 데뷔하는 점도 기대요인으로 꼽혔다.
황 연구원은 “사업부 재편에 따라 키이스트는 드라마와 영화를, SMC&C는 광고와 예능을 전담하게 된 것은 중장기적 관점에서 긍정적 요소”라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홍지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