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보유하고 있는 삼성SDS 주식을 어떻게 할까?
삼성SDS의 보호예수 기간 종료가 한 달 안으로 다가왔다. 보호예수는 투자자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대주주 지분을 상장 뒤 일정기간 매각하지 못하게 하는 제도다.
![]() |
||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
한국투자증권은 21일 삼성SDS의 보호예수 기간이 다음달 14일 종료됨에 따라 지배구조 개편 논의가 본격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윤태호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SDS의 보호예수 종료 뒤 여러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며 “이 부회장이 올해 초 상속세 납부에 대한 시장반응을 확인해 빠르면 올해 안에 이건희 회장의 지분을 상속할 가능성이 높다” 말했다.
증권 전문가들은 이 부회장이 이건희 회장의 지분을 물려받아 그룹 전체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해 삼성SDS 지분을 활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이건희 회장은 삼성전자 3.38%, 삼성생명 20.76%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이에 따른 상속세만 해도 5조 원 안팎으로 추정된다.
이 부회장은 삼성SDS 지분을 직접 팔아 이에 대한 자금을 마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시장에 파는 것보다 모회사인 삼성전자에 팔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관측된다.
윤 연구원은 “자회사가 모회사 지분을 추가매입할 명분이 충분하다”며 “삼성SDS 지분 가운데 일부가 대주주인 삼성전자에 매각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러나 삼성SDS 주가가 최근 하락하고 있어 이른 시일 안에 이 부회장이 삼성SDS 지분을 팔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삼성그룹도 “삼성그룹 오너 일가가 단기간에 삼성SDS 지분을 팔 가능성이 없다”는 입장을 보인다.
이 부회장이 삼성SDS 지분을 담보로 대출받아 상속세를 납부하는 방안도 제기된다.
금융기관들은 일반적으로 담보가액의 60~80% 정도를 대출해 준다. 이 경우 이 부회장은 삼성전자와 삼성생명의 배당 등으로 대출금을 갚아나갈 수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양도소득세를 부담하면서까지 삼성SDS 지분을 매각하기보다 담보대출 등으로 현금을 융통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이 부회장이 당장 이건희 회장의 보유 지분을 상속받지 않고 삼성SDS와 그룹의 핵심인 삼성전자의 합병을 추진해 지배력을 강화할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삼성전자가 삼성SDS를 흡수합병하면 이 부회장은 지분 맞교환을 통해 삼성전자 지분을 늘릴 수 있다. 현재 이 부회장의 삼성전자 지분율은 0.57%로 미미한 수준이다.
공영규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지배구조 변화 관련 최선의 시나리오는 삼성전자와 삼성SDS가 합병하는 경우”라며 “대주주는 삼성전자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할 수 있고 기존 주주도 삼성전자의 주주가 되는 편이 유리하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오대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