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무원이 국내 식품업체 최초로 중국에서 방문판매시장에 진출했다.

남승우 풀무원 총괄사장이 중국사업을 키워 미국사업의 부진을 만회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남승우, 풀무원의 중국 방문판매사업 진출로 매출확대 기대  
▲ 남승우 풀무원 사장
15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풀무원건강생활은 오는 6월부터 중국 현지에서 직소영업을 통해 건강기능식품과 ‘이씰린’이라는 화장품 스킨케어 제품을 판매한다.

중국 직소시장은 국내 방문판매와 다단계판매를 합친 '무점포 직접판매'를 뜻한다.

중국 직소시장은 연간 20~30조 원 규모로 세계 최대다. 2012년 15조 원에서 2013년 22조 원을 넘어서 1년 만에 40% 이상 커졌다.

이 때문에 중국정부의 허가를 받기 위해 수많은 기업들이 노력했지만 지금까지 60여 기업들만 허가를 받는 데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풀무원건강생활은 중국정부로부터 59번째로 직소판매 허가를 받았다.

양형모 LIG투자증권 연구원은 “풀무원건강생활이 국내 식품업계 최초로 중국 직소시장에 진출했다”고 밝혔다.

양 연구원은 “바르고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한다는 풀무원의 브랜드 이미지가 중국인들 사이에서 생겨나 성장이 지속될 것”이라며 “중국 북경과 상해의 법인매출이 연평균 80~90% 성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풀무원이 중국 방문판매시장에 진출하면서 실적상승 기대로 풀무원 주가는 이달 들어만 40% 정도 올랐다. 풀무원 주가는 15일에도 전일 대비 4.77% 오른 20만85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풀무원의 자회사인 풀무원식품도 기업공개 과정에서 기업가치가 오를 것으로 내다본다. 풀무원식품은 4월 말 상장 예비심사 청구를 앞두고 있다.

풀무원은 미국사업에서 계속 적자를 내고 있는데 중국사업에서 사업부진을 만회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풀무원식품의 미국법인은 지난해 매출 1009억 원, 순손실 173억 원을 기록했다.

남 사장은 지난 3월 말 열린 주주총회에서 미국사업을 접고 중국사업에 집중해야 한다는 요구를 받기도 했다.

남 사장은 “미국사업을 턴어라운드하기 위해 국내 인력을 적극적으로 파견하고 있다”며 “해외시장에 안착하려면 적게 3년 길게 10년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계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