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B산업은행이 글로벌본드 발행에 성공했다.
KDB산업은행은 세계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모두 10억 달러 규모의 글로벌본드를 발행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채권은 3년 만기 고정금리 5억 달러와 5년 만기 고정금리 5억 달러로 구성된 ‘듀얼 트랜치’ 구조로 발행됐다.
3년 만기 5억 달러 채권의 발행금리는 미 국채 3년물에 0.65%포인트의 가산금리가 더해졌다. 5년 만기 채권은 미 국채 5년물에 0.85%포인트의 가산금리로 발행됐다.
듀얼 트랜치 구조는 만기와 금리 등 조건이 다른 두 개의 채권을 동시에 발행하는 방식을 말한다.
지역별로는 아시아가 38%로 가장 많았고 유럽·중동이 33%, 미국 29% 순으로 나타났다.
기관별로는 자산운용사·펀드가 44%, 은행·기타가 33%, 각국 중앙은행·국제기구·정책금융기관 등이 23%를 차지했다.
KDB산업은행 관계자는 ”2월 말 북미 정상회담 개최를 앞두고 적절한 발행시기에 양호한 금리 수준으로 글로벌본드 발행에 성공했다"며 "특히 신규 발행 프리미엄(NIP) 없이 유통금리 수준 미만에서 최종금리가 결정돼 앞으로 한국계 기관이 해외 채권을 발행할 때 유리한 금리조건을 만들 것으로 평가받는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
KDB산업은행은 세계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모두 10억 달러 규모의 글로벌본드를 발행했다고 13일 밝혔다.

▲ 서울 여의도 KDB산업은행 본점.
이번 채권은 3년 만기 고정금리 5억 달러와 5년 만기 고정금리 5억 달러로 구성된 ‘듀얼 트랜치’ 구조로 발행됐다.
3년 만기 5억 달러 채권의 발행금리는 미 국채 3년물에 0.65%포인트의 가산금리가 더해졌다. 5년 만기 채권은 미 국채 5년물에 0.85%포인트의 가산금리로 발행됐다.
듀얼 트랜치 구조는 만기와 금리 등 조건이 다른 두 개의 채권을 동시에 발행하는 방식을 말한다.
지역별로는 아시아가 38%로 가장 많았고 유럽·중동이 33%, 미국 29% 순으로 나타났다.
기관별로는 자산운용사·펀드가 44%, 은행·기타가 33%, 각국 중앙은행·국제기구·정책금융기관 등이 23%를 차지했다.
KDB산업은행 관계자는 ”2월 말 북미 정상회담 개최를 앞두고 적절한 발행시기에 양호한 금리 수준으로 글로벌본드 발행에 성공했다"며 "특히 신규 발행 프리미엄(NIP) 없이 유통금리 수준 미만에서 최종금리가 결정돼 앞으로 한국계 기관이 해외 채권을 발행할 때 유리한 금리조건을 만들 것으로 평가받는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