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목표주가가 낮아졌다.
출국수요 둔화와 유가 상승으로 2018년 4분기 제주항공 실적이 좋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됐다.
박성봉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15일 제주항공 목표주가를 4만9천 원에서 4만5천 원으로 낮추고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제주항공 주가는 14일 3만3650원으로 거래를 끝냈다.
박 연구원은 “공격적 기재 도입 영향으로 2018년 4분기 제주항공의 국제선 수송량은 2017년 같은 기간보다 증가했을 것”이라면서도 “지방발 여객 비중 확대에 따른 탑승률 하락과 일본 및 사이판 태풍 영향에 따른 출국수요 둔화로 기대 이하의 국제선 여객 운임을 보였다”고 파악했다.
제주항공은 2018년 4분기 매출 3114억 원, 영업이익 63억 원을 거둔 것으로 추정됐다. 2017년 4분기보다 매출은 19.1% 늘어났지만 영업이익은 83.4% 줄어든 것이다.
박 연구원은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급유단가 상승 역시 2018년 4분기 영업이익 감익에 영향을 미쳤다”고 덧붙였다.
제주항공의 2018년 4분기 급유단가는 2018년 3분기보다 배럴당 약 10달러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2019년 1분기부터는 제주항공의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박 연구원은 “제주항공의 유류비 투입단가가 12월부터 하락세로 전환했기 때문에 1분기에는 유류비 감소에 따른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며 “2018년 4분기에 감소했던 여객 수요도 회복세로 전환되고 있다는 점도 제주항공 1분기 실적 개선에 긍정적”이라고 내다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윤휘종 기자]
출국수요 둔화와 유가 상승으로 2018년 4분기 제주항공 실적이 좋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됐다.

▲ 이석주 제주항공 대표이사 사장.
박성봉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15일 제주항공 목표주가를 4만9천 원에서 4만5천 원으로 낮추고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제주항공 주가는 14일 3만3650원으로 거래를 끝냈다.
박 연구원은 “공격적 기재 도입 영향으로 2018년 4분기 제주항공의 국제선 수송량은 2017년 같은 기간보다 증가했을 것”이라면서도 “지방발 여객 비중 확대에 따른 탑승률 하락과 일본 및 사이판 태풍 영향에 따른 출국수요 둔화로 기대 이하의 국제선 여객 운임을 보였다”고 파악했다.
제주항공은 2018년 4분기 매출 3114억 원, 영업이익 63억 원을 거둔 것으로 추정됐다. 2017년 4분기보다 매출은 19.1% 늘어났지만 영업이익은 83.4% 줄어든 것이다.
박 연구원은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급유단가 상승 역시 2018년 4분기 영업이익 감익에 영향을 미쳤다”고 덧붙였다.
제주항공의 2018년 4분기 급유단가는 2018년 3분기보다 배럴당 약 10달러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2019년 1분기부터는 제주항공의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박 연구원은 “제주항공의 유류비 투입단가가 12월부터 하락세로 전환했기 때문에 1분기에는 유류비 감소에 따른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며 “2018년 4분기에 감소했던 여객 수요도 회복세로 전환되고 있다는 점도 제주항공 1분기 실적 개선에 긍정적”이라고 내다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윤휘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