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광주시의 '광주형 일자리' 협상 수정안을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태도를 보였다.
현대차는 5일 입장자료에서 "광주시가 노사민정 협의회를 거쳐 제안한 내용은 투자 타당성 측면에서 받아들이기 어려운 안"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는 노동계의 반발을 수용해 협상안을 다시 만들었다. 이 수정안으로 재협상을 벌이기로 했으나 현대차가 바로 거절한 것이다.
현대차는 수정안 내용 가운데 '임금·단체협약 유예'와 관련한 부분을 받아들이기 힘들다고 봤다.
애초 광주시가 6월 현대차와 맺은 투자협약안에는 '5년간 임단협을 유예한다'는 조항이 포함됐는데 노동계의 반발로 '5년간' 대신 '35만대 달성까지'로 문구가 바뀐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노동계가 다시 거부하면서 이번 수정안에서는 임단협 유예 조항을 아예 빼거나 유예기간을 두지 않는 방향으로 재변경됐다.
현대차는 사업 수익성과 지속성을 고려했을 때 4∼5년 동안의 임단협 유예 조항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는 뜻을 고수하고 있다.
현대차는 입장자료에서 광주시를 향해 "혼선을 초래하고 있는 점을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광주시가 원래 현대차에 약속했던 방안을 자꾸 번복하고 있다는 것이다.
현대차는 광주시가 '의결사항 수정안 3안'을 두고 현대차의 기존 제안이라고 주장한 것도 사실 왜곡이라고 반박했다.
수정안 3안은 '결정사항(임단협)의 효력은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는 내용이다. 현대차는 "광주시가 향후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해 투자협의가 원만히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진영 기자]
현대차는 5일 입장자료에서 "광주시가 노사민정 협의회를 거쳐 제안한 내용은 투자 타당성 측면에서 받아들이기 어려운 안"이라고 밝혔다.

▲
정의선 현대자동차 부회장.
이에 앞서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는 노동계의 반발을 수용해 협상안을 다시 만들었다. 이 수정안으로 재협상을 벌이기로 했으나 현대차가 바로 거절한 것이다.
현대차는 수정안 내용 가운데 '임금·단체협약 유예'와 관련한 부분을 받아들이기 힘들다고 봤다.
애초 광주시가 6월 현대차와 맺은 투자협약안에는 '5년간 임단협을 유예한다'는 조항이 포함됐는데 노동계의 반발로 '5년간' 대신 '35만대 달성까지'로 문구가 바뀐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노동계가 다시 거부하면서 이번 수정안에서는 임단협 유예 조항을 아예 빼거나 유예기간을 두지 않는 방향으로 재변경됐다.
현대차는 사업 수익성과 지속성을 고려했을 때 4∼5년 동안의 임단협 유예 조항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는 뜻을 고수하고 있다.
현대차는 입장자료에서 광주시를 향해 "혼선을 초래하고 있는 점을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광주시가 원래 현대차에 약속했던 방안을 자꾸 번복하고 있다는 것이다.
현대차는 광주시가 '의결사항 수정안 3안'을 두고 현대차의 기존 제안이라고 주장한 것도 사실 왜곡이라고 반박했다.
수정안 3안은 '결정사항(임단협)의 효력은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는 내용이다. 현대차는 "광주시가 향후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해 투자협의가 원만히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