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반도체의 가파른 가격 하락에 타격을 받아 4분기에 예상보다 부진한 실적을 낼 것으로 추정됐다.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은 3일 "경기 불확실성 확대와 중앙처리장치(CPU) 공급 부족으로 11월 반도체업황도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며 "연말까지 업황 개선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메모리반도체 가격이 더욱 하락할 것으로 예상돼 고객사들이 재고 축적을 미루고 있는 점도 반도체 수요 감소에 무게를 싣고 있다.
11월 PC용 D램 평균가격은 10월보다 2.4%, 서버용 D램 가격은 2.9%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 하락세가 최소한 내년 1분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11월 낸드플래시 평균 가격도 10월과 비교해 5.9% 떨어지며 가파른 하락폭을 나타냈다.
박 연구원은 "4분기 낸드플래시 평균 가격이 기존 예상치를 밑돌 것으로 전망된다"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실적에 추가로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삼성전자 반도체사업부는 4분기에 영업이익 12조4240억 원을 볼 것으로 추정됐다. 박 연구원의 기존 영업이익 전망치와 비교해 3% 줄어드는 수치다.
SK하이닉스의 4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는 6조200억 원으로 이전보다 1% 낮아졌다.
박 연구원은 "D램 수요는 내년 2분기부터 큰 폭으로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며 "주요 D램업체들이 생산 투자를 축소하고 있는 점도 업황에 긍정적"이라고 바라봤다.
낸드플래시업황도 반도체 성수기 진입과 해외업체의 증설 투자 지연 효과로 내년 2분기부터 안정적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은 3일 "경기 불확실성 확대와 중앙처리장치(CPU) 공급 부족으로 11월 반도체업황도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며 "연말까지 업황 개선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김기남 삼성전자 DS부문 사장(왼쪽)과 박성욱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부회장.
메모리반도체 가격이 더욱 하락할 것으로 예상돼 고객사들이 재고 축적을 미루고 있는 점도 반도체 수요 감소에 무게를 싣고 있다.
11월 PC용 D램 평균가격은 10월보다 2.4%, 서버용 D램 가격은 2.9%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 하락세가 최소한 내년 1분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11월 낸드플래시 평균 가격도 10월과 비교해 5.9% 떨어지며 가파른 하락폭을 나타냈다.
박 연구원은 "4분기 낸드플래시 평균 가격이 기존 예상치를 밑돌 것으로 전망된다"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실적에 추가로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삼성전자 반도체사업부는 4분기에 영업이익 12조4240억 원을 볼 것으로 추정됐다. 박 연구원의 기존 영업이익 전망치와 비교해 3% 줄어드는 수치다.
SK하이닉스의 4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는 6조200억 원으로 이전보다 1% 낮아졌다.
박 연구원은 "D램 수요는 내년 2분기부터 큰 폭으로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며 "주요 D램업체들이 생산 투자를 축소하고 있는 점도 업황에 긍정적"이라고 바라봤다.
낸드플래시업황도 반도체 성수기 진입과 해외업체의 증설 투자 지연 효과로 내년 2분기부터 안정적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