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KT 아현지사 화재를 계기로 방재시설을 의무적으로 갖추지 않아도 되는 D급 통신국사까지 정부의 점검 대상에 포함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2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 전 배포한 자료를 통해 “피해 범위가 광범위한 A급~C급 80곳의 통신국사는 과기정통부가 모두 점검하고 있으며 그 밖에 D급 835곳은 사업자가 자체적으로 점검을 해왔다”며 “곧 중요 통신시설 전체를 대상으로 종합 점검을 추진하고 D급 통신시설도 점검 대상에 포함할 것”이라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종합 점검을 위해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12월 말까지 피해자 보상 등 사고 수습과 재발 방지대책을 세우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재발 방지대책 가운데 하나로 소방법상 설치가 의무화돼 있지 않은 500m 미만의 통신구에도 통신사와 협의를 거쳐 CCTV와 스프링클러 등 화재 방지시설을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통신사 사이에 우회로를 사전에 확보해 놓는 등 위기 상황에 대비한 통신사들의 협력체계도 만들기로 했다.
KT는 이날 오전 6시를 기준으로 LTE 기지국 2165곳(76.4%), 인터넷 21만2162가입자(98.3%), 유선전화 21만1049 가입자(90.6%), 전용회선 1만3031회선(79.0%) 등이 복구된 상황이라고 밝혔다.
KT는 특히 복구 과정에서 LG유플러스 광케이블망을 일부 활용했으며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의 와이파이를 KT 가입자에게도 개방했다고 설명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
과기정통부는 2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 전 배포한 자료를 통해 “피해 범위가 광범위한 A급~C급 80곳의 통신국사는 과기정통부가 모두 점검하고 있으며 그 밖에 D급 835곳은 사업자가 자체적으로 점검을 해왔다”며 “곧 중요 통신시설 전체를 대상으로 종합 점검을 추진하고 D급 통신시설도 점검 대상에 포함할 것”이라고 밝혔다.

▲ 25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 KT아현국지사에서 KT 관계자 등이 복구를 위해 화재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과기정통부는 종합 점검을 위해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12월 말까지 피해자 보상 등 사고 수습과 재발 방지대책을 세우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재발 방지대책 가운데 하나로 소방법상 설치가 의무화돼 있지 않은 500m 미만의 통신구에도 통신사와 협의를 거쳐 CCTV와 스프링클러 등 화재 방지시설을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통신사 사이에 우회로를 사전에 확보해 놓는 등 위기 상황에 대비한 통신사들의 협력체계도 만들기로 했다.
KT는 이날 오전 6시를 기준으로 LTE 기지국 2165곳(76.4%), 인터넷 21만2162가입자(98.3%), 유선전화 21만1049 가입자(90.6%), 전용회선 1만3031회선(79.0%) 등이 복구된 상황이라고 밝혔다.
KT는 특히 복구 과정에서 LG유플러스 광케이블망을 일부 활용했으며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의 와이파이를 KT 가입자에게도 개방했다고 설명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